암 환자 괴롭히는 구강점막염 새 치료법 제시

순천향대천안병원,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광생물 변조 치료법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은 최근 방사선치료 합병증인 '구강점막염'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입안 점막의 궤양으로 출혈과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등 암 치료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특히 두경부암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의 80% 정도가 겪는다.

 두경부암 다학제팀 조인영 교수(방사선종양학과)는 "구강점막염은 환자치료를 중단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생존율까지 떨어뜨리는 심각한 합병증"이라고 설명했다.

 다학제팀이 제시한 구강점막염 치료법은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광생물 변조 치료법이다. 손상된 구강점막에 적정 강도의 레이저 광선을 쪼임으로써 신속한 세포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다.

 구강점막염의 등급을 1∼4로 구분할 때 치료 환자군의 치료 전 등급은 평균 2.63이었으며, 치료 4주 후에는 평균값이 0.75로 매우 낮아졌다.

 연구 결과는 '두경부암 환자의 항암 방사선치료로 인한 구강점막염의 광생물 변조 치료 효과'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photonics' 2023년 제10권(제3호)에도 소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한국오가논 "산후출혈, 모성사망 주요 원인…'제이다'로 치료"
한국오가논은 "산후 자궁 출혈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제이다 시스템'으로 안전한 출산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이날 김소은 한국오가논 대표는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이다 출시 기념 미디어 세션에서 이 같은 구상을 전했다. 제이다는 비정상적인 산후 자궁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개발된 음압 유도 출혈 조정 장치로 작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자궁의 생리적인 수축을 유도해 산후 자궁 출혈을 조절·치료한다. 산후 출혈은 누적 혈액 손실이 1천㎖ 이상이거나 분만 후 24시간 이내 저혈량증의 징후나 증상을 동반한 혈액 손실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자궁무력증으로 이 경우 자궁 수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출혈이 지속된다. 이날 발표한 조금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한국에서 2021년 기준 모성사망의 가장 큰 원인은 진통 및 분만 합병증(분만 후 출혈·자궁무력증 등)으로 전체 34.8%를 차지한다"고 했다. 조 교수는 "산후 출혈을 겪는 산모에게는 적절한 의료 장치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지만, 의료진은 제한된 치료 옵션 등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이다는 산모 안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