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후 폐렴 얻은 성인 40%, 항생제 부적절 처방"

질병청, '성인 병원획득 폐렴 진료 및 항생제 사용지침' 발간

 병원에 입원하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지 이틀이 지난 후에 폐렴을 얻은 성인의 약 40%에 항생제가 부적절히 처방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23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와 함께한 성인 병원획득 폐렴 원인균·항생제 내성 패턴에 관한 정책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병원획득 폐렴이란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폐렴 혹은 인공호흡기 사용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폐렴을 뜻한다.

 이번 연구는 2019년 1년간 국내 16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 47만7천73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원인균이 확인된 환자 517명 중 39.5%(204명)에는 초기에 항생제가 부적절하게 처방됐다.

 치료 초기에 의사의 경험적 판단에 따라 항생제를 처방했지만,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가 아니었던 셈이다.

 또한 환자 1천196명 중 359명(30.0%)은 치료에 실패했고, 28.7%는 사망했다.

 질병청이 인용한 해외 조사자료를 보면 병원획득 폐렴의 발생 위험은 기저질환 및 다제내성균  보유, 흡인 및 인공호흡기 사용자에게서 2.3∼12.3배 높다.

 입원 기간 연장에 따른 치료비용은 연간 280억∼450억 달러에 이르고, 사망률은 최대 25.1%다.

 적절한 지침만 따른다면 입원 일수, 인공호흡기 사용 일수, 비용감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종합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성인 병원획득 폐렴 진료 및 항생제 사용지침'을 발간했다.

 이번 지침은 성인 병원획득 폐렴의 진단, 항생제 병합요법, 항생제의 단계적 축소 및 중단 등 11개 핵심 문항에 대한 권고사항으로 구성돼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병원획득 폐렴에 대한 국내 역학 자료에 기반한 지침으로, 그간 임상 진료의 근거로 활용된 외국 지침보다 현실적인 치료 방법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일산병원 '경기도북부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개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28일 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경기도북부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개소식을 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최종희 질병관리청 만성질환 관리국장, 고준호 경기도의회 의원을 비롯해 경기도, 경기도보건소, 경기도교육청 관계자 등이 참석해 아토피·천식 교육 정보센터 개소를 축하했다. 최종희 질병관리청 만성질환 관리국장은 "전문성을 갖춘 일산병원이 경기도 북부 센터로 선정돼 기쁘다"며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실질적 도움을 주는 센터가 되길 기대한다"고 축사를 했다. 아토피·천식 교육 정보센터는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내 상담실을 운영하며 교육 간호사가 상주해 전화, 오프라인, 온라인을 통한 전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교육을 한다. 주요 사업은 아토피·천식 안심 학교 운영 지원,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 교육, 교육 홍보 콘텐츠 제작 및 배포, 지역사회 상담 서비스 및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현재 지역 내 유치원과 학교, 보건소 등을 중심으로 아토피·천식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유관기관 협력을 통해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창훈 병원장은 "경기도 북부 주민들이 아토피·천식 알레르기 질환으로부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