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환자 발길 모으면 필수의료 문제 풀 수 있죠"

고객관리플랫폼 개발한 김은선 고대안암병원 교수

  "아는 의사 한명이 있으면 왠지 든든한 것처럼, 한국 병원에 오는 문턱을 낮추고 싶다는 생각으로 첫 서비스명을 지었습니다."

  서울 성북구 고대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김은선(45) 교수는 염증성 장 질환을 전문으로 다루는 의사이자 스타트업 '피플스헬스' 대표다.

 김 교수는 연내 완성을 목표로 국내 의료기관에서 치료받기를 원하는 외국인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해외 병원과 환자 관련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웹 '토글독'(toggledoc)을 개발 중이다.

 현재 운영 중인 다국어 전자문진 서비스 '아는의사'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한국에서 원격으로 현지 의료진의 소견을 듣고 차트는 물론 CT·MRI 영상 등 교환도 가능한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 2020년 통역 없이 내원했다가 언어 장벽 때문에 증상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좌절하는 외국인 환자와 보호자를 보고 이를 개선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이 시작이었다.

 그는 한국에 있는 친인척이나 대행사를 통하지 않더라도 해외에서 손쉽게 병원을 예약하고 진료받을 수 있다면, 미용성형이 아닌 중증질환 치료도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했다.

 몽골 현지 병원에서 '식도암' 진단을 받고 수술하기 위해 한국까지 왔는데 알고 보니 '식도염''이었던 사례도 있었다.

 우리 의료진이 사전에 조직검사 슬라이드와 같은 데이터를 받아봤더라면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컸다.

최근 몽골 울란바토르 한 병원을 방문한 김은선 교수

 최근 몽골에서 만난 몽골Ach의과대 등 유수 대학병원 의료진들 역시 이 같은 플랫폼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김 교수는 전했다.

 김 교수는 "개발도상국은 아무래도 의료기기가 낙후됐거나, 검사·판독 기술이 우리보다 뒤처져 있는 경우가 많다"며 "토글독을 통해 이들과 지속해 교류하며 같이 발전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단 몽골을 시작으로 중국과 일본, 북미 등지까지 환자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국제진료센터 등 관련 시설과 인력을 갖추는 데 부담을 느끼는 국내 2차 병원은 물론 일부 대형 병원들도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병원은 비급여 대상인 외국인 환자를 통해 얻는 수익으로 필수 의료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고, K-의료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의료관광의 저변이 확대돼 국가적으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김 교수의 주장이다.

 다만, 몽골인의 경우 심리적으로 가까운 한국 병원을 선호함에도 비자 문제 때문에 중국과 러시아, 튀르키예 등지로 발길을 돌리는 사례가 많다는 점은 선결 과제로 꼽았다.

 의대 교수이자 워킹맘으로 하루 24시간이 모자란 데다, 초보 창업자로서 마케팅, 투자 유치 등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 넘어 산'이라고 한다.

 하지만 의료계 종사자 중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기에 자신이 꼭 이뤄내겠다며 김 교수는 다시 외래진료실로 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류 위협하는 슈퍼박테리아…"한국도 국가 차원 투자해야"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며 치료제 개발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치료제 연구·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벤처 노아바이오텍은 대웅제약과 항생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항생제에 독창적 물질을 결합해 항생제가 표적 세균 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균 내 항생제 농도를 높인다고 노아바이오텍은 설명했다.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신약 개발 벤처 펩토이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2022년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파스퇴르연구소의 고위험성 병균 실험실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펩토이드는 이렇게 도출한 후보물질 PDL-7과 PDL-16이 내성균인 그람음성균에 적용됐을 때 내성 발생이 낮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다제내성균에 대한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회사는 해당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을 준비 중이다. 다제내성균은 항생제의 잦은 사용 등으로 인해 내성이 강해져 여러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균을 말한다. 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1년과 2018년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사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8만6천551명과 우울증이 없는 86만5천510명을 대상으로 사망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 20만원 넘는 '입덧약' 싸지나…건강보험 적용 절차 밟는 중
입덧약이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신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입덧은 대부분의 임신부가 겪는 증상이지만, 이를 완화해주는 입덧약은 전 세계 1위의 극심한 저출산 상황에서도 여태껏 비급여 의약품으로 남아 있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 현재 8개 제약사가 자사 입덧약을 보험급여 의약품 목록에 올리겠다고 신청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이들 제약사가 입덧약의 효능·효과와 희망 가격 등을 담아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연 건강보험에서 약값을 지원해줄 만큼 가치가 있는지 검증하는 '급여 적정성 평가'를 하고 있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관계자는 "심평원이 일부 미흡한 자료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하도록 제약사에 요구했고, 관련 학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순조롭게 등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부분 국가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의약품 위주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선별등재 방식'(Positive List System)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제약사가 자사 의약품을 급여목록에 올리려면 '비용 효과성'(경제성 평가 등)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