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스트레스, 뇌 발달·행동에 중장기적 영향"

美 연구팀 "스트레스받은 쥐, 유전자 발현 변화·성장 후 위험 행동 증가"

 동물실험에서 유아기 스트레스가 머리를 부딪혀 다치는 것보다 뇌의 유전자 발현에 더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성장 후에는 위험 감수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캐스린 렌츠 교수팀은 최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신경과학회 연례 회의(Neuroscience 2023)에서 쥐 실험을 통해 스트레스가 외상성 뇌 손상(TBI)보다 뇌에서 더 많은 유전자 활성 수준을 변화시키고 성장 후에는 위험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렌츠 교수는 "이 연구는 초기 스트레스가 평생 건강에 미칠 가능성에 대해 우리가 충분히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는 어린 시절 스트레스를 주는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신중한 대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흔히 발생하는 낙상으로 인한 두부 손상은 감정 장애와 사회적 어려움 등과 관련이 있으며 어릴 때 겪은 부정적인 경험도 질병, 정신질환, 약물 오남용 등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어린 시절 부정적 경험의 스트레스를 모방하기 위해 갓 태어난 쥐를 14일간 일정 시간 어미와 분리했다. 이어 유아기인 15일째에 스트레스받은 쥐와 받지 않은 쥐에게 마취 상태에서 뇌진탕과 유사한 뇌 손상을 입혔다.

 연구팀은 이 쥐들을 성장시키면서 스트레스 쥐, 뇌 손상 쥐, 스트레스+뇌 손상 쥐, 스트레스와 뇌 손상이 없는 쥐로 나눠 뇌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고, 성장한 뒤에는 행동 차이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렌츠 교수는 "외상성 뇌 손상과 스트레스가 어떻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며 "동물모델 실험으로 어릴 때 스트레스 상황 맥락에서 외상성 뇌 손상을 겪는 것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뇌 해마 부위의 유전자 발현을 단일 핵 RNA 서열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 쥐와 스트레스+뇌 손상 쥐의 경우 뇌 가소성(뇌세포 일부가 죽더라도 재활 치료를 통해 다른 뇌세포가 일부 기능을 대신하는 것)과 관련된 흥분성 및 억제성 뉴런 경로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쥐보다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뇌 가소성은 변화에 적응하는 뇌 능력과 관련이 있으며 대체로 유연성을 촉진하지만, 변화가 부적응적일 때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또 스트레스 쥐와 스트레스+뇌 손상 쥐는 모두 모성 행동 및 사회적 유대감과 관련된 호르몬인 옥시토신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스트레스 없이 뇌 손상만 입은 쥐는 옥시 토신 경로가 억제됐다.

 쥐가 성장한 후 시행한 행동 관찰 실험에서는 스트레스를 경험한 쥐들이 자신들이 가보지 않은 넓은 공간에 더 자주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 저자인 미카엘라 브리치 연구원(박사과정)은 일반적으로 설치류에서 넓은 공간은 포식자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위험 지역으로 간주한다며 "이는 유아기 스트레스를 받는 쥐들이 나중에 더 많은 위험 행동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렌츠 교수는 "이 실험에서 외상성 뇌 손상보다 초기 스트레스가 훨씬 더 많은 유전자 발현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스트레스의 영향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생애 초기 스트레스가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출처 : Neuroscience 2023, PSTR159 - Early-Life Stress: Molecular Mechanisms and Cellular Effects, Kathryn Lenz et al., https://www.abstractsonline.com/pp8/#!/10892/presentation/2961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