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의대정원 발표는 미루고 '의사상' 만들겠다는 윤 정부

'윤심' 아래 한 줄 서기, 표류하는 인요한 혁신위

한·중 정상회담 불발된 APEC, 대중외교 재점검 계기 돼야

▲ 국민일보 = 이·팔 교전 일시 중단 임박…평화 정착 계기 되기를

▲ 서울신문 = 횡재세에 달빛철도까지…총선만 보고 내달리는 여야

한미일 공고화, '유연한 중국' 지렛대 되길

행정전산망 먹통은 재난…전화위복 계기 삼아야

▲ 세계일보 = 나라살림 경고음 커지는데 총선용 예산 증액 경쟁할 건가

'디지털 정부' 행정망 먹통 대혼란, 재발 방지책 시급하다

민주당의 청년 비하 현수막, 이러고도 표 달라고 하나

▲ 아시아투데이 = 총선 앞서 믿음 주는 선거제 개선안 마련하라

이재용 재판 106차례, 경영은 언제 하란 말인가

▲ 조선일보 = 공매도 금지 2주, 국제 신뢰 떨어지고 주가는 도로 제자리

행정전산망 '먹통' 사태, 사흘 지나도록 원인도 모른다

소형 원자로 332억 깎고 국회 예산 364억 늘린다니

▲ 중앙일보 = 불발된 한·중 정상회담…양국 대화채널 점검 계기 삼아야

장관 '디지털 정부' 홍보 외유 중 행정망 먹통 망신

▲ 한겨레 = 언론 불통 1년, "질문 받는 대통령" 약속 언제 지키나

한-중 정상회담 불발, 미·일 편중외교 우려 커졌다

행정망 마비에 갈팡질팡, 총체적 무능 드러낸 정부

▲ 한국일보 = 원인도 즉각 못 찾은 행정망 마비, 이게 디지털 정부인가

IMF "한국 5년간 저성장" 경고, 구조개혁 더 미룰 수 없다

아쉬운 尹·시진핑 회담 불발…대중외교 정상화 시급하다

▲ 디지털타임스 = 연금개혁 서둘라는 IMF…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는 일 없어야

초유의 행정전산망 셧다운…대기업 공공사업 참여 제한 풀어야

▲ 매일경제 = 野 비명계 의원 모임, '악성 팬덤정치' 청산 기폭제 되길

주무장관이 유럽서 '디지털 정부' 홍보 중에 터진 행정망 마비

총선 앞두고 네이버 댓글 전쟁 우려, 아웃링크가 답이다

▲ 브릿지경제 = 소비자는 안중에도 없는 물가 '편법 인상' 웬말인가

▲ 서울경제 = '백년대계' 국토 개발, 총선 득표 수단으로 악용하지 말아야

"네트워크 장애" 뒤늦은 해명…디지털정부 근본부터 들여다보라

기업 부채·부도 증가 세계 2위…옥석 가리기로 '빚 굴레' 벗어나야

▲ 이데일리 = 미적대는 의대 입학정원 수요조사 발표, 이유 뭔가

초유의 행정전산망 올스톱, IT강국 외칠 자격 있나

▲ 이투데이 = "연금·노동 개혁 필요"…한국 급소 따끔히 짚은 IMF

▲ 전자신문 = 기대되는 삼성-네이버 AI 반도체 자립

행정 전산망, 안전대책 재점검하라

▲ 한국경제 = "포퓰리즘 집권 시 GDP 10% 추락" 한국 유권자가 총선서 새길 말

이 판에 지역구 軍공항 옮기자는 국회의장, 수원 市의원인가

행정전산망 먹통 대란…안보·재난·에너지·SOC망엔 이상 없나

▲ 대한경제 = '꼼수 경영' 방지 가이드라인 마련, 시민단체에 미뤄선 안된다

'인터넷 강국' 무색케한 초유의 국가 행정망 셧다운

▲ 파이낸셜뉴스 = 준비 부족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시행은 시기상조

저성장·고금리 뉴노멀 시대, 시급한 전방위 구조개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