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이주노동자 수·문호 확장, 반인권적 제도·인식도 바꿔야

총선 앞 신당 행렬, 선거공학보다 비전 내놓아야

'안보 위기'라며 권력 암투로 지새운 국정원, 환골탈태하라

▲ 국민일보 = 김기현 대표, '윤심' 내세우지 말고 솔선수범해야

의협이 의대 증원 반대 고수하면 국민 불신 직면할 것

▲ 서울신문 = 홍콩 ELS 부실 판매 철저히 따지되 옥석 가려야

치안센터 통폐합 앞서 치안인력 확충해야

예타 면제 '신바람', 피해는 국민 몫이다

▲ 세계일보 = 홍콩ELS "원금손실 없다"는 은행 말 믿고 가입했다는데

'윤심팔이' 나선 김기현의 역주행…용두사미 되는 與 혁신

北, DMZ 내 감시초소 복구·중화기 배치…도발 대비해야

▲ 아시아투데이 = 삼성 새 컨트롤타워, '성장동력' 투자 이끌길

노사정, 재개된 대화 불씨 잘 살려가야

▲ 조선일보 = GP 재무장 북, 한국민 안보 불안 부추길 궁리 하고 있을 것

19∼34세 청년층 82%가 미혼, 결혼 꺼리니 출생률도 급락

타당성 평가 면제 사업 44조, 둑 무너진 여야 매표 폭주

▲ 중앙일보 = 총선 출마할 장관들, 조속히 거취를 결정하라

적반하장식 북한의 긴장 고조, 불가피해진 비례 대응

▲ 한겨레 = 1년 반 자리싸움만 벌이다 수뇌부 통째 경질 국정원

'행정망 먹통' 대책 마련도 헛발질하는 정부

기업 목소리만 듣고 중대재해법 후퇴시킬 건가

▲ 한국일보 = 의협의 파업 위협…강행했다간 역풍만 불 것

학폭 업무 경찰 이관, 교육을 포기하는 것일 수 있다

내달 중폭 이상 개각…'서오남' 벗고 인재 폭넓게 등용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한·중·일 전기차 경쟁 승자의 조건

미 정부와 연준의 모순과 밀월

▲ 대한경제 = 깡통위기 '홍콩 ELS', 실질적인 피해자 구제책 내놔야

외국인 인력 현장 활용 가로막는 제약 여전하다

▲ 디지털타임스 = 붕괴하는 청년인구…일자리·교육 연계 특구 주저할 시간 없다

민주, '이재명표' 포퓰리즘으로 예산 전횡…대선 불복 아닌가

▲ 매일경제 = 외국인 소득세 특례 일몰 위기…고급인재 유치 손 놓겠다는 국회

초진·약배송 허용 안된 비대면진료, 언제까지 반쪽운영 할텐가

'인사 잡음' 국정원, 이러다간 하마스 못 막은 모사드 꼴난다

▲ 브릿지경제 = '경제형벌' 개선 입법, 21대 국회에서 손 놓았나

▲ 서울경제 = 야권 내부서도 '파시즘' 비판받는 '개딸', 그대로 놔둘 건가

가업 승계·결혼자금 세제 완화, 총선용 편 가르기 사안 아니다

"호객 행위에 처벌"…과도한 경제 형벌 바로잡아 민간 활력 높여야

▲ 이데일리 = 내부 갈등으로 멍드는 국정원, 국가 안보 지킬 수 있나

예타 비웃는 野, 한술 더 뜨는 與…매표 짬짜미 아닌가

▲ 이투데이 = 금융당국이 은행을 이렇게 들볶아도 되나

▲ 전자신문 = 벤처기업 성장 지속 유도하려면

행정망 해법, '어떻게'에 집중할 때

▲ 파이낸셜뉴스 = 홍콩발 ELS 공포, 금융권 불완전 판매 관행 손봐야

부실기업 줄줄이 도산, 옥석 가린 구조조정 급하다

▲ 한국경제 = 대통령과 3시간 통화한다는 김기현 대표, 민심은 안 보이나

민주당도 가세한 상속세 개편 논의…이참에 확 뜯어고치자

급증하는 외국인 근로자와의 상생 로드맵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