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안구 질환 잡아라"…제약업계, 황반변성약 개발 경쟁

'올릭스·파멥신·뉴라클제네틱스' 임상 중…경구용 등 제형 개선도
셀트리온·삼천당제약[000250], '아일리아' 복제약 품목 허가 신청

 세계적 인구 고령화로 퇴행성 안구 질환인 황반변성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자 국내 제약사들이 치료제 개발을 통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항체 치료제 개발 기업 파멥신은 기존 치료제에 불완전하게 반응하는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 후보 물질 'PMC-403'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아일리아와 루센티스 등 기존 황반병성 치료제는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방식이지만 약물 내성으로 인한 치료 효과 감소, 1∼3개월마다 반복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 등 한계가 있다.

 황반변성은 시세포 대부분이 모여 있는 신경 조직인 황반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으로, 시력 감소, 시야 중심에 암점이 생겨 사물이 보이지 않는 중심 암점,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변시증 등 증상이 나타난다. 건성에서 악화한 습성 황반변성은 시력이 급속히 나빠지는 경우가 많고, 발생 후 2개월에서 3년 사이에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해당 물질은 혈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수용체 'TIE-2'를 활성화해 비정상적으로 변한 혈관을 정상화한다.

 전임상에서는 염증 반응 조절 효과가 확인되기도 했다.

 신약 개발 기업 올릭스는 최근 개발 중인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의 미국 임상 1상 중간 결과, 치료제 관련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올릭스는 OLX301A가 기존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습성 황반변성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며, 건선·습성 황반변성을 모두 치료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황반변성

 안구에 직접 주사하는 항VEGF 치료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형을 개선하는 사례도 있다.

 난치성 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큐라클은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 'CU06'을 개발 중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경구용 제품은 기존 항VEGF 치료제보다 장기 투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며 "내년 1분기 임상 2a상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뉴라클제네틱스는 지난 달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제 'NG101'(개발 코드명)의 캐나다 임상 1·2a상에서 첫 환자 투여를 마쳤다고 밝혔다.

 환자의 눈에 1∼3개월마다 반복 투여해야 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NG101은 단회 투여로 장기간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이 회사는 설명했다.

 뉴라클제네틱스는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이 2021년 73억 달러 규모였고, 2031년에는 228억 달러(약 3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제약·바이오협회가 2021년 발간한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황반변성 환자 수는 2020년 1억9천600만명에서 2040년 2억8천8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를 통해 시장 진출을 꾀하는 사례도 생겨난다.

 최근 셀트리온과 삼천당제약은 각각 유럽의약품청(EMA)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품목 허가를 신청했다.

 미국 제약사 리제네론이 개발한 아일리아의 미국 독점권은 내년 5월, 유럽 물질특허는 내후년 11월에 만료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류 위협하는 슈퍼박테리아…"한국도 국가 차원 투자해야"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며 치료제 개발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치료제 연구·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벤처 노아바이오텍은 대웅제약과 항생제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항생제에 독창적 물질을 결합해 항생제가 표적 세균 내부로 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세균 내 항생제 농도를 높인다고 노아바이오텍은 설명했다.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신약 개발 벤처 펩토이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2022년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파스퇴르연구소의 고위험성 병균 실험실을 활용해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후보 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펩토이드는 이렇게 도출한 후보물질 PDL-7과 PDL-16이 내성균인 그람음성균에 적용됐을 때 내성 발생이 낮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어 다제내성균에 대한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 회사는 해당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을 준비 중이다. 다제내성균은 항생제의 잦은 사용 등으로 인해 내성이 강해져 여러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게 된 균을 말한다. 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1년과 2018년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사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8만6천551명과 우울증이 없는 86만5천510명을 대상으로 사망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 20만원 넘는 '입덧약' 싸지나…건강보험 적용 절차 밟는 중
입덧약이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신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입덧은 대부분의 임신부가 겪는 증상이지만, 이를 완화해주는 입덧약은 전 세계 1위의 극심한 저출산 상황에서도 여태껏 비급여 의약품으로 남아 있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 현재 8개 제약사가 자사 입덧약을 보험급여 의약품 목록에 올리겠다고 신청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이들 제약사가 입덧약의 효능·효과와 희망 가격 등을 담아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연 건강보험에서 약값을 지원해줄 만큼 가치가 있는지 검증하는 '급여 적정성 평가'를 하고 있다. 복지부 보험약제과 관계자는 "심평원이 일부 미흡한 자료를 보완해서 다시 제출하도록 제약사에 요구했고, 관련 학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순조롭게 등재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부분 국가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의약품 위주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선별등재 방식'(Positive List System)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제약사가 자사 의약품을 급여목록에 올리려면 '비용 효과성'(경제성 평가 등)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