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생존자, 매년 유방 X선 검사 불필요"

  미국의 유방암 지침은 유방암 생존자가 매년 유방 X선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2∼3년 간격으로 받아도 유방암 재발률과 생존율은 비슷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영국 워릭 대학 의대의 재닛 던 임상시험학 교수 연구팀이 2014년 4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유방암 생존자 5천235명(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12일 보도했다.

 이들은 유방암 수술 3년 후 재발 징후가 없는 여성으로 87%가 국소 진행성 유방암인 침윤성 유방암 생존자들이었다.

 다른 그룹은 다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유방 보전 소괴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2년마다,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여성은 3년마다 유방 X선 검사를 받았다.

 평균 5.4년의 추적 관찰 기간 이 중 319명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104명으로, 매년 검사 그룹이 53명, 2∼3년 간격 검사 그룹은 51명이었다.

 유방암 재발률은 매년 검사 그룹이 5.9%, 2∼3년 간격 검사 그룹이 5.5%였다.

 전체적인 생존율은 매년 검사 그룹이 94.7%, 2∼3년 간격 검사 그룹이 94.5%로 비슷했다. 유방암   특이 생존율은 매년 검사 그룹이 98.2%, 2∼3년 간격 검사 그룹이 98.3%로 거의 같았다.

 유방 X선 검사 횟수가 줄어들면 건강관리 시스템의 부담이 줄고 검사 후 결과를 기다리며 스트레스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도 줄어들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샌안토니오 유방암 연례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