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송고시간2023-12-13 08:00

 

  

 

▲ 경향신문 = 재일 조선학교와의 문화교류까지 막겠다는 통일부의 역주행

장제원 불출마 선언, '용산 출장소' 극복이 쇄신 본질이다

민간에 개발권 넘긴 공공주택, 분양가 상승·특혜 없어야

▲ 국민일보 = '타다 금지법' 만든 정치, 이젠 '직방 금지법' 만들려 하나

장제원 불출마로 쇄신 바람 더 세져야…野는 혁신 안 하나

▲ 서울신문 = 타다 사태 겪고도 '직방금지법' 추진하는 野

LH 독점 해체, 건설 카르텔 혁파 첫걸음 되길

친윤 핵심 불출마 선언, 한 명으로 끝나선 안 된다

▲ 세계일보 = 한국형 3축체계 구축 강화, 對北 안보불안 해소 계기 되길

'타다 반성문' 쓴 지 언제라고 또 '직방 혁신' 싹 자르려 하나

"나를 밟고 가라"는 장제원…다른 '윤핵관'도 동참해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공인중개사 표몰이' 중단해야

당이 어려울 때 자신을 희생한 장제원 의원

▲ 조선일보 = '친푸틴' 반성한 獨 사민당, '친김정은' 민주당은?

이제는 익숙해지기까지 하는 '운동권 내로남불'

장제원 불출마, 與 의원들 나라 위한 길 숙고하길

▲ 중앙일보 = 총선용 '직방금지법' 우려, 또 혁신 죽이기인가

'장제원 불출마' 정도로 국민이 여권 쇄신 체감하겠나

▲ 한겨레 = '윤핵관' 장제원 불출마, 당정 변화 없이는 백방이 무효

심각한 저출생에도 이젠 무덤덤, 우리 사회 미래 있나

'채 상병 사건' 부하 떠넘기고 생존 장병 모독한 사단장

▲ 한국일보 = 기후 몸살에도…'화석연료 퇴출' 빠진 COP28 초안

"또 LH 혁신이냐"는 불신…실행 의지가 관건

與 장제원 불출마, 꺼져 가는 혁신 불씨 돼야

▲ 글로벌이코노믹 = 채권수익률 역전 속 연착륙 신호

저유가 추세 고물가 해결할 기회다

▲ 디지털타임스 = 공공주택 'LH 독점' 혁파…품질·분양가 두 마리 토끼 잡아야

장제원 이어 김기현도 결단해야 국힘 회생 불씨 살아난다

▲ 매일경제 = 장제원 불출마 선언…국민의힘 인적쇄신 계속되길

아파트 층간소음 해법, 삶의 질 최우선해야

선거제도 확정 미루는 여야, 정치신인 막는 기득권 짬짜미 아닌가

▲ 브릿지경제 = CCM 인증, '소비자 중심' 기업이 인정받아야

▲ 서울경제 = 부동산 PF 연체율 2배, 선제 대응으로 시스템 리스크 막아라

"1∼2%대 저성장 장기화"…규제·세제 족쇄 제거해 재도약해야

'친윤' 장제원 불출마…타이밍 놓치지 말고 黨政大 전면 쇄신해야

▲ 이데일리 = 신혼부부 절반이 딩크족, 육아환경 개선 미룰 수 없다

총선 코앞 직방금지법…巨野, 혁신의 싹 또 자를 건가

▲ 이투데이 = 폴란드 정세 변화, K-방산 피해 없게 정밀 대응을

▲ 전자신문 = 직방금지법 신중해야 한다

C-ITS 상용화는 앞서가자

▲ 한국경제 = 기초연금 40만원 확정…지급 대상 축소 없으면 '현금 퍼주기'

장제원 불출마…與, 인적 쇄신 넘어 정치 혁신으로 나아가야

정권 바뀌자 확 줄어든 '파업손실', 이래서 원칙 대응이 중요하다

▲ 대한경제 = 장제원 불출마 선언, 여야 세대교체 신호탄 돼야 한다

LH 혁신안,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이행해야

▲ 파이낸셜뉴스 = 공공주택 건설 민간 개방, 분양가 상승은 경계해야

한·네덜란드 '반도체 동맹' 최강국 도약 발판되길

▲ 경북신문 = 후보자들이 선거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