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송영길 구속, 돈봉투 구태 정치 깨는 전기로

'그 나물에 그 밥' 2기 외교안보라인, 국익·실용 외교 펼쳐야

김건희 특검법이 "악법"이라는 한동훈, 호위무사 자처하나

▲ 국민일보 = 폐지든 개정이든 학생인권조례 부작용은 바로잡아야

송영길 구속… '86세대' 상징의 몰락

▲ 서울신문 = 북핵 앞 국정원 더는 흔들리는 일 없어야

'돈봉투' 송영길 결국 구속… 거짓이 더 참담하다

최상목 사령탑, 尹정부 역동경제 과감히 추진하라

▲ 세계일보 = 또 터진 음대 입시 비리, 대학 신뢰 무너뜨리는 중범죄다

새 외교·안보 라인, 북핵·공급망 위협에 빈틈없는 대처를

'돈봉투 의혹' 송영길 구속, 받은 의원들 수사도 속도 내야

▲ 아시아투데이 = '플랫폼 경쟁촉진법' 제정 속도 내길

송영길 돈 봉투 사건, 정치권 자정 계기 삼아야

▲ 조선일보 = '일단 거짓말부터' 李대표 주변에 모여 있는 사람들

조태용 신임 원장, 국정원 내분만이라도 끝내 달라

민주당 전 대표는 구속, 현 대표 영장은 기각, 대체 무슨 기준인가

▲ 중앙일보 = 북핵 대비, 국정원 안정, 미 대선 … 과제 산적한 2기 안보팀

'86 운동권 세대' 종언 앞당길 송영길 구속

▲ 한겨레 = '전당대회 돈봉투' 송영길 구속, 민주당 깊이 자성해야

명품백 의혹 '답변 거부' 용산, "몰카 공작"이라는 한동훈

교황청 '동성 커플 축복' 공식 승인, 한국 사회도 성찰을

▲ 한국일보 = 또 아비규환 김포골드라인… 대형사고 터져야 움직일 텐가

새 외교안보팀, 한반도 위기 활로 뚫을 책임 막중하다

'송영길 구속'에도 침묵한 민주당의 도덕 불감증

▲ 글로벌이코노믹 = HMM 초대형 국적선사 유지 조건

늘어나는 60대 취업, 질이 문제다

▲ 대한경제 =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우리도 저탄소 전환으로 승부해야

레미콘제조사 42%가 불합격 골재 사용한다니

▲ 디지털타임스 = 공정위 '플랫폼법' 추진… 독점은 없애고 혁신 싹은 살려야

宋 구속한 檢은 수사 속도 내고, 민주당은 규명 협조하라

▲ 매일경제 = '돈 봉투' 송영길 구속, 사과 없는 민주당의 몰염치

서초구 대형마트 휴업일 평일 전환…서울 전역 확산돼야

HMM 품은 하림, 해운강국 부활 책임 막중하다

▲ 브릿지경제 =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 실효성 더 살펴봐야

▲ 서울경제 = "정치 보복" 운운하며 비리 의혹 덮으려는 시도 더 없어야

대형마트 평일 휴일 확산, 낡은 유통 규제 집착할 때 아니다

압도적 국방력 확보와 국익 외교에 전력 다하고 기강 세워라

▲ 이데일리 = 쌓이는 나랏빚, 이래도 재정건전성 걱정 안 할 텐가

상생효과 확인된 대형마트 휴업일 조정, 왜 주저하나

▲ 이투데이 = 공급망 리스크 관리, 이젠 말잔치로 끝나면 안돼

▲ 전자신문 = 국제 표준 선점, 빠를수록 좋다

'플랫폼 공정경쟁 촉진법' 제정 신중해야

▲ 파이낸셜뉴스 = 서울도 마트 의무휴업 평일로, 관련법 개정해야

소비자 보호 위해 대형 플랫폼 규제는 마땅하다

▲ 한국경제 = 송영길 구속은 사필귀정, '돈봉투 의원들'도 조속히 걸러내야

中 플랫폼이 국내 시장 장악할 판인데 … 토종 플랫폼 손발 묶는다니

"한국 경제 성적, OECD 2위" … 경제 회복·구조 개혁 박차 가해야

▲ 경북신문 = 與, 책임 떠넘기는 고질병부터 고쳐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