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북한과 '단계적 비핵화 대화' 뜻 비친 미국, 한국도 대비해야

부유층·대기업에 맞춰진 저출생 대책, 수혜자 얼마나 될까

의대 증원 요구 3400명, '주먹구구식 늘리기' 안 되게 해야

▲ 국민일보 = R&D 예산 대폭 늘린다는 대통령실, 더는 시행착오 없어야

민주당, 조국과 힘 합쳐서 중도층 마음 얻겠나

▲ 서울신문 = 출산지원금 비과세, 환영할 일이지만

'사법 농락' 조국·송영길 창당, 총선 뒤가 더 걱정

지역별 세계적 병원 육성하는 게 의료개혁이다

▲ 세계일보 = 北, 법원·반도체 정보까지 해킹… 총선 전산망은 안전한가

국가장학금 확대·주거비 지원, 선거용 돈 풀기 지나쳐

의대 3401명 증원 신청,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 계기 삼길

▲ 아시아투데이 = 의대 증원, 수도권 의료 쏠림 개선 계기 되길

韓-李 TV 토론, 국민의 선택에 도움 준다

▲ 조선일보 = 대학들, 2000명보다 훨씬 많은 3401명 의대 증원 신청

손잡은 두 명의 피고인 당 대표, 무슨 연대인가

"낮게 달린 과일 이젠 없다" 경제 살 길 구조개혁뿐

▲ 중앙일보 = 이재명 대표, 총선 TV토론 거부할 명분 없다

외국인 돌봄 도우미, 우리도 전향적 검토 할 시대다

▲ 한겨레 = RE100 수출장벽 가시화, 이념적 에너지정책 버려야 산다

'배우자 부실장' 공천 철회, 이런 실책 다시는 없어야

전공의 복귀 설득해야 할 교수들이 삭발에 사직까지

▲ 한국일보 = 의사들 거센 압박에도… 의대 증원 신청 더 늘린 대학들

점점 떨어지는 중국 성장률, '차이나 쇼크' 대비해야

"비례공천 밀실 회귀"… 끝 모르는 민주당의 추락

▲ 글로벌이코노믹 = 애플 빠진 전기차 위기극복 전략은

주총 시즌, 기업가치 높일 기회다

▲ 대한경제 = 추락 사고 예방에 노사 함께 힘쓰되 마지막 퍼즐은 근로자 몫

의대 증원 '3401명' 신청, 의사단체 반대 명분 없다

▲ 디지털타임스 = 외국인 도우미제도, 최저임금 고집하다간 하세월 된다

국힘 '이념 스펙트럼' 확장, 정치 양극화 해소 기폭제 되길

▲ 매일경제 = 佛 헌법에 '낙태 자유' 명시하는데 법규정 미비한 한국

전공의 면허 정지한다고 환자 버리는게 스승이 할일인가

日은 3년만에 소득 3만弗서 4만弗…우리는 7년째 제자리라니

▲ 브릿지경제 = 시장 상황 안 맞는 토지거래허가제 풀 때 됐다

▲ 서울경제 = 조국과 손잡은 野, 야당 국회부의장 영입 與…무너진 정치 원칙

의대 증원 신청 3401명, 의사들도 필수·지역 의료 정상화 협조해야

고통 따르는 구조개혁 타이밍 놓치면 글로벌 정글서 생존 어렵다

▲ 이데일리 = 의대 정원 갈등에 묻힌 비대면진료 논의, 멈출 일인가

올해도 세수펑크 경고등, 정치권 감세공약 자제해야

▲ 이투데이 = 대형마트 규제해 골목상권 지킨다는 공염불

▲ 전자신문 = 비대면 진료, 뉴노멀로 발전시켜야

▲ 파이낸셜뉴스 = 수요 급증 간병인, 외국인 도입 검토할 때다

청년들이 결혼해 아이 낳고 싶은 나라를 만들자

▲ 한국경제 = 첨단산업 기술 유출, 적국 따지지 말고 간첩죄로 처벌해야

오죽하면 한은이 '외국인 인력에 최저임금 차등' 권하겠나

7년째 국민소득 3만달러 … 이대로는 5만달러 어림도 없다

▲ 경북신문 = 매맷값과 좁혀진 전셋값… 고개 든 갭투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