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품 조제·시스템 상담'…약사 돕는 로봇·AI

제이브이엠, '로봇 팔' 조제기 '메니스' 앞세워 해외 진출
크레소티, 약국 시스템 상담 AI 협약…약사 업무 해소 기대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약품 조제와 약국 시스템 상담 업무에 활용되며 약사가 약품 검수, 환자 복약 지도 등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고 있다.

 17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의 의약품 자동 조제 분야 계열사 제이브이엠은 '로봇 팔'을 적용한 의약품 자동 조제기 '메니스'를 앞세워 해외 진출에 나섰다.

 해외 공장형 약국에 공급되는 메니스는 다관절 로봇 팔이 '캐니스터'(의약품 한 종류를 담는 통) 700∼900개를 자동으로 교환해 1분당 최대 120포의 약품을 조제한다.

 이를 통해 약사의 조제 업무 부담을 줄이고, 정확하고 안전한 조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제이브이엠은 국내 약국에는 약품 자동조제포장기(ATC)를 공급하고 있다.

 ATC는 환자가 제출한 처방전의 바코드를 통해 약품을 자동 조제·포장하는 장비로, 약사는 약품 종류와 개수 등을 최종 검수하기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약사가 약국의 전자 시스템에 관한 질문이 생길 경우, 대처 방법 등을 제공하는 AI도 등장할 전망이다.

 약국 IT(정보통신) 서비스 기업 크레소티는 AI 기업 플루닛과 약국 AI 상담 센터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크레소티는 전국 약국 1만4천 곳에 약국 IT 설루션을 공급하고 있는데, 해당 AI 상담 센터를 활용하면 설루션의 사용 방법, 기능 등 약사의 질문에 AI가 응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크레소티 관계자는 "약사 상담이 한 달에 최대 2만5천 건 정도 들어온다"며 "이 중 20% 정도의 간단한 문의는 AI가 즉시 응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크레소티는 플루닛과 가상 인간 생성 플랫폼을 활용한 설루션 교육 영상 제작, 플루닛이 개발 중인 AI 비서 서비스 및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추가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AI를 약국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외과 의사들 "노동강도·위험도·난도 고려해 수가 높여야"
소아청소년과 외과계 학회들이 성인 환자에 비해 노동강도·위험도·난도 등이 높은 소아 환자 수가를 인상해 '소아외과 기피 현상'을 해결하자고 주장했다. 소아외과계 학회와 연구회 등이 참여하는 대한소아청소년외과의사연합은 26일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CJ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심포지엄을 열었다. 첫 번째 세션인 '붕괴된 소아외과계,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에서 발표에 나선 박성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이사는 소아비뇨 수가 체계의 문제점으로 "성인 수술 대비 낮은 수가, 적용가능한 수가 코드 부재, 소아 수술 난이도 반영의 한계" 등을 들었다. 신창호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보험위원도 "현 의료체계에서 수술료는 철저하게 성인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며, 소아정형외과 수술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코드가 없는 것이 많다"고 비판하며 수술료 수가 코드를 정비하고 삭감이 잦은 수술료 심사 절차를 개선해야 의료진의 기피 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미영 대한소아심장학회 이사는 "수가만 인상해서는 소아심장과 등이 기피진료과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별도의 국가 예산을 투입해 소아의료체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가를 결정하는 구조에서 소아외과 계열 '상대가치'가 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