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875원 대파' 소동 부른 윤 대통령 행차, 국민 고통과 멀다

의대별 증원 확정한 정부, 환자 우선한 파국 대책 세워야

떠밀려 사퇴한 황상무, 이종섭은 바로 경질하라

주총장마다 터져 나오는 "주가 제고·주주 환원" 목소리

▲ 서울신문 = 이재명 대표 재판 불출석, 국민이 어떻게 보겠나

'공시가 현실화' 폐지… 징벌과세 손보기 방향 맞지만

의대 증원 배정안, 지역의료 도약 마중물 되길

▲ 세계일보 = 황상무 사퇴 만시지탄, 이종섭 논란도 속히 정리해야

총선 핑계 재판 안 간 李, 법원 "강제 구인" 경고로 끝내선 안 돼

의대 증원 배분 확정, 醫·政 이젠 출구전략 마련할 때다

▲ 아시아투데이 = 의사 총파업 대비한 비상계획까지 마련해야

尹 대통령, '李 귀국·黃 사퇴' 결단 빛났다

▲ 조선일보 = 1% 지지 종북 정당에 최대 5석 주고 정책까지 연대하는 민주당

'2000명 증원' 확정, 그래도 정부·의사는 대화해야

"탄핵" 외친 李 대표, 법정서 발뺌 이화영, 벌써 선거 이긴 듯

▲ 중앙일보 = '윤·한 충돌' 속히 일소하고 '예측 가능한 정권'되길

증원 배분 발표가 끝이 아니다 … 대화 포기 말아야

▲ 한겨레 = 이종섭 자진귀국은 임시변통, 대사직 사퇴부터 해야

대통령 가자 떨어진 대파값, 물가 대책의 어설픈 민낯

2천명 배정, 수도권 쏠림 없는 의사 배분으로 이어져야

▲ 한국일보 = 의대 증원 쐐기 박은 정원 배분… 이젠 현실적 대화를

본인 재판 안 나가고 "권력 회수" 외치는 제1야당 대표

'이종섭 거취'도 尹대통령이 결단 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일본 금리정책이 시장에 주는 신호

고물가 시대 이커머스 초저가 마케팅

▲ 대한경제 = '잃어버린 30년' 벗어난 日本의 금리 인상이 부럽다

서울시와 대전도시공사의 적극행정이 돋보인다

▲ 디지털타임스 = 이종섭 귀국·황상무 사퇴… 與, 더는 민심 역린 없어야 희망 있다

'의대정원 대못' 尹정부, 그래도 대화의 문은 닫지 말라

▲ 매일경제 = 의대 증원 82% 지방에 배정…지역 필수의료 돌파구 돼야

박용진 득표율 공개한 민주당, 이런다고 '사당화' 가려지나

ESG 대신 EPG로 저출생 해소 제안한 국민보고대회

▲ 브릿지경제 = 기업형 장기임대주택, 전세제도 대체할 수 있겠나

▲ 서울경제 = 대장동 재판 출석 않고 "권력 회수" 외치며 탄핵 시사한 野대표

"정규직 과보호에 중장년 고용 불안" …노동 유연화 서둘러야

의대별 정원 확정, 특위에서 필수·지역 의료 정상화에 머리 맞대라

▲ 이데일리 = AI 인재 양성에 팔걷고 나선 LG, 정부도 제 역할 해야

진흙탕 비례대표, 벼랑끝 집안싸움… 민심 두렵지 않나

▲ 이투데이 = 비수도권 82%, 경인 18%… 의사 이탈 명분 없다

▲ 전자신문 = 의대 증원, 타협과 조율 병행해야

▲ 파이낸셜뉴스 = 의대 2000명 증원 확정, 극한대치 접고 대화 나서야

경제 주축 40대 고용 감소, 서둘러야 할 구조개혁

▲ 한국경제 = 한국 기업 현실 돌아보게 만드는 젠슨 황의 'AI 혁신'

'농민 보호' 프레임 벗어났더니 오히려 수출상품 된 포도

의대 2000명 배분 확정 … 후속 개혁 차질 없이 추진해야

▲ 경북신문 = 국회의원 바로 뽑아야 하는 이유

▲ 경북일보 = 민심에 유연해야 할 야당이 민심 외면해서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