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핀보다 효과 강한 '부토니타젠' 임시마약류 지정 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남용이 우려되는 신종 물질인 '부토니타젠'(Butonitazene)을 1군 임시마약류로 지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부토니타젠은 마약류관리법에 따른 마약인 '프로토니타젠'(Protonitazene)과 유사한 구조여서, 의존성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호흡 억제 등 신체·정신적 위해를 줄 수 있다.

 특히 동물실험에서 이 물질은 펜타닐보다 약하지만, 모르핀보다는 강한 효과를 나타내 남용 가능성이 있으며 졸음, 구토 등 복용 후 증상은 전형적인 아편 유사체와 같다고 식약처는 부연했다.

 다만 아직 국내 반입·유통 사례는 확인된 바 없다.

 지정 공고 이후부터는 1군 임시마약류를 재배·추출·수출입·제조 또는 매매·매매알선·수수하거나, 그럴 목적으로 소지·소유하면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을 받게 된다.

 식약처는 현행 마약류가 아닌 물질 중 마약류 대용으로 오·남용되거나 국민 보건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물질을 3년 범위에서 임시마약류로 지정하고 있다. 2011년부터 제도를 시행해 총 284종의 임시마약류를 지정했고, 이 중 185종은 이후 의존성 평가 등을 거쳐 마약류로 지정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 메시징 앱 사용… 자존심 향상과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 영향"
청소년의 메시징 앱 사용이 자존감 향상과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두훈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소년 801명을 대상으로 2017년과 2018년 각각 한 차례씩 메시징 앱의 사용 빈도와 그에 따른 자존감 수준, 우울감 정도, 신경증적 성향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메시징 앱은 인터넷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의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다. 일상적인 소통뿐 아니라 업무용 커뮤니테이션 도구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 분석 결과, 메시징 앱을 자주 사용하는 청소년일수록 자존감이 높았으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으로 민감한 성향(신경증적 성향)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메시징 앱 사용을 통해 자존감을 높였을 때 우울증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 교수는 "청소년 4명 중 1명이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현실에서 메시징 앱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부모와 교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