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담뱃갑 새 건강경고 문구·그림 적용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6/art_17448415905221_9b7984.jpg)
최근 전 세계적으로 5명 가운데 1명은 평생 한 번 이상 암에 걸린다는 보도가 나오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관련 뉴스 댓글에서는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에 대한 관심이 쏟아졌다.
우리나라도 암은 통계청이 사망 원인을 집계하기 시작한 1983년 이후 40여년간 1위 자리를 지킬 정도로 두려운 질병이기 때문이다.
◇ 한국인 암 발생률 30% 이상…발병률 1위 갑상선암
한국인은 지난해 기준 기대수명(남성 79.9세, 여성 85.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이 남성 37.7%, 여성 34.8%에 달했다.
1999년 한 해 10만1천856명이었던 암 발생자는 2010년 20만8천565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2022년에는 28만2천47명으로 늘어났다.
인구 10만명당 암이 발생할 비율을 나타내는 '조발생률' 역시 같은 기간 216명, 418.1명, 550.2명으로 증가세였다.
2022년 기준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3만3천914명·12%)이었고, 대장암(3만3천158명·11.8%), 폐암(3만2천313명·11.5%), 유방암(2만9천528명·10.5%), 위암(2만9천487명·10.5%), 전립선암(2만754명·7.4%), 간암(1만4천913명·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폐암(2만1천646명·14.7%)이 가장 많았고 전립선암(2만754명·14.1%), 대장암(1만9천633명·13.3%), 위암(1만9천562명·13.3%), 간암(1만974명·7.4%), 갑상선암(8천576명·5.8%)이 뒤를 이었다.
여자는 유방암(2만9천391명·21.8%), 갑상선암(2만5천338명·18.8%), 대장암(1만3천525명·10.0%), 폐암(1만667명·7.9%), 위암(9천925명·7.4%), 췌장암(4천695명·3.5%) 순이었다.
암 환자와 완치 후 생존해있는 사람을 포함한 수치인 '암 유병 수' 역시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55만4천693명)이 21.4%로 가장 많았다.
위암(35만6천507명), 유방암(33만854명), 대장암(32만6천251명), 전립선암(14만7천618명), 폐암(13만1천496명)이 뒤를 이었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7.0명으로 미국(367.0명), 영국(307.8명)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지만 일본(267.1명), 중국(201.6명)보다는 높았다.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77.0명으로 주요 비교 국가 중 가장 낮았다.
◇ '침묵의 살인자' 폐암…확실한 예방은 금연
폐암이 유독 암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이유는 높은 사망률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산업화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이다.
국내 기준 폐암은 5년 생존율이 40.6%에 불과하다. 2023년 암으로 사망한 8만5천271명 중 21.9%에 달하는 1만8천646명이 폐암을 앓았다.
이는 간암(11.9%), 대장암(11.0%), 췌장암(9.0), 위암(8.5%)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발병률과 유병률이 가장 높은 갑상선암은 5년 상대 생존율이 100%에 가까울 정도로 치명적이지는 않다.
그렇다면 왜 폐암의 사망률이 유독 높을까.
폐암은 흔히 감기 증세와 비슷한 병세 외에 뚜렷한 초기 증상이 없다.
이 때문에 폐암 환자의 15% 정도는 무증상일 때 폐암으로 진단되고, 진단받았을 때는 이미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가 많다.
폐암의 평균 발병 연령이 70.2세의 고령이라는 점도 사망률이 높은 원인이다.
낮아진 면역력에 각종 합병증이나 심장·뇌혈관 질환 등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폐암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은 흡연이다.
폐암의 약 85%는 흡연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고,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흡연자는 비흡연자와 비교하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5∼80배 높다.
흡연의 양과 기간도 폐암에 걸릴 확률과 관련이 있다.
매일 한 갑의 담배를 40년간 피운 사람은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은 사람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20배에 달하고, 20년간 두 갑을 피운 남자라면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60∼70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담배를 끊으면 향후 폐암에 걸릴 위험도가 15년간 점차 감소해 비흡연자의 2배까지 떨어지지만, 비흡연자와 같은 수준으로 떨어지지는 않는다.
담배 외에는 석면, 라돈, 비소, 카드뮴, 니켈 등 금속과 이온화를 하는 방사선 등에 장기간 노출되는 직업·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폐암에 걸릴 확률이나 예후와 관련 있다.
폐암의 예방법은 금연 외에는 확실히 밝혀진 것이 없으며, 약 90%의 폐암이 금연으로 예방할 수 있다.
지하층 거주, 지하상가나 업무지역, 지하철 등에서는 라돈 노출을 줄이기 위해 환기를 자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