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일 조간)

▲ 경향신문 = 무력화되는 대북제재, 윤석열 정부 책임도 크다

한동훈의 '사교육 세액공제' 공약, 공교육 무너뜨릴 셈인가

부동산 투기·편법대출 '공정' 상실 후보 국회의원 자격 없다

▲ 서울신문 = 투표소 몰카, 불신 조장 엄단하고 선거관리 만전을

대화 아닌 '정치 투쟁' 불사하겠다는 의협

러에 막힌 대북 감시… 동맹 호흡 더 긴밀해야

▲ 세계일보 = 생후 33개월 유아 병상 없어 숨진 현실 의사들은 직시하라

與 아무리 표 급해도 '현금살포' 공약 내걸고 막말해서야

野 부동산 의혹에 국민 억장 무너지는데 버티면 그만인가

▲ 아시아투데이 = 유아 무상보육, 초당적 협력 필요

부정선거 가능성, 철저하게 차단해야

▲ 조선일보 = "낙선 운동" "여당 참패" 의사인가, 정치인인가

세계 최고 상속세가 촉발한 한미약품 경영권 분쟁

中측 "한반도 자유민주 통일은 위험" 이게 그들 본심

▲ 중앙일보 = 대북제재 역행하는 러시아, 상임이사국답게 처신해야

편법 대출·황당 궤변 … 양문석 후보 의원 자격 있나

▲ 한겨레 = 고물가 힘겨운데 유가·환율 들썩, '민생' 제대로 챙겨야

'명품백' 옹호·강제해직 주도, YTN 사장 자격 있나

'대출 의혹' 얼버무린 채 적반하장 태도 보인 야당 후보

▲ 한국일보 = 민주주의 근간 흔드는 사전투표소 몰카… 선관위는 뭐했나

편법대출 피해자 없다는 양문석의 적반하장, 의원자격 없다

이송 거부 끝에 숨진 33개월 아이… 의정 당장 대화해라

▲ 글로벌이코노믹 = 고금리 고물가 부실기업 리스크

원·달러 환율, 위안화에 취약한 이유

▲ 대한경제 = 해상풍력 발전, 에너지안보 위해 국내 기업도 키워야

KTX 개통 20주년, 전국을 이웃 동네로 만들었다

▲ 디지털타임스 = 3%대 고물가 자극하는 여야 돈 풀기 공약 경쟁 자제해야

편법대출·갭투자·아빠찬스 후보들, 낯 들고 유세할 수 있겠나

▲ 매일경제 = 최저임금 1만원 코앞, 업종별 차등적용 절실하다

與 "5세부터 무상보육"… 총선후 숙의해 결론낼 사안

사기대출 의혹 보도에 "언론 고소하겠다" 野 후보의 적반하장

▲ 브릿지경제 = 최저임금 차등적용, 법 취지 맞고 현실에도 적합하다

▲ 서울경제 = OECD보다 높은 법인세에 징벌적 상속세, 경쟁력 가질 수 있나

"진료실서 낙선 운동" 겁박 멈추고 '의대 증원' 갈등 대화로 풀어라

'부동산·전관' 논란에도 반성 없이 적반하장, 몰염치 그냥 둘 건가

▲ 이데일리 = 최저임금 심의 개시, 올해는 업종별 차등화 실현해야

투표소 몰카 무더기 발견, 투·개표 준비 더는 허점 없나

▲ 이투데이 = 9년 만에 '무더기 순손실'… 저축銀에 선제 대응을

▲ 전자신문 = 구조적 금융후진성 족쇄 끊어야

▲ 파이낸셜뉴스 =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적용 이제 도입할 때

끝없는 선심 경쟁, 재정 후폭풍 누가 책임지나

▲ 한국경제 = 삼성 스마트폰 1위 회복 … AI시대 주도권 확실히 잡아야

치솟는 저축은행 연체율 … 부실 PF 관리 긴장 늦춰선 안 된다

사과·바나나·감자 값 세계 1위 … 날씨 아닌 유통구조의 문제

▲ 경북신문 = 간 큰 경주 농협… 선거 앞두고 선심성 관광?

▲ 경북일보 = 본격 총선전, TK 발전 이끌 적임자 가리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