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장내 세균 조절 암 면역력 향상…생쥐실험서 확인"

英·美·덴마크 연구팀 "비타민 D 수치 높은 환자, 암 면역요법 반응성 커"

  비타민 D가 장내 미생물을 조절해 암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을 향상하는 것으로 생쥐 실험에서 확인됐다.

 또 사람도 비타민 D 수치가 높을 경우 암 면역요법에 잘 반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와 미 국립보건원 국립암연구소(NCI), 덴마크 올보르대 공동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생쥐에게 비타민 D가 풍부한 먹이를 먹이는 실험과 암 환자 집단 분석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제1 저자 겸 공동 교신저자인 에반젤로스 지암파졸리아스 박사는 비타민 D가 생쥐 장내 세균의 암 면역을 유도해 면역요법에 대한 반응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장내 미생물 군집을 이용한 면역체계 강화로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도 비타민 D 결핍과 암 위험 사이에 연관성을 시사하는 결과들이 제시됐지만 그 증거는 명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비타민 D가 풍부한 먹이를 먹은 생쥐는 비타민 D가 장의 상피세포에 작용,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라는 미생물이 증가하면서 면역 저항력이 향상되고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효과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해 혈액에서 비타민 D와 결합해 조직에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단백질을 제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는 면역 요법 반응 개선이 비타민 D의 직접적인 효과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어 암 면역력 향상이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의 작용인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인 먹이를 먹인 쥐에게 이 미생물을 투여한 결과 종양 성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됐으나, 비타민 D 결핍 먹이를 제공한 생쥐에서는 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덴마크 올보르대 연구팀은 15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 비타민 D 수치와 암 발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으며, 암 환자 집단에 대한 별도 분석에서 비타민 D 수치가 높으면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암파졸리아스 박사는 "이 결과는 비타민 D가 암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좋은 미생물과 나쁜 미생물을 구분하는 요인들을 정확히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카에나노 레이스 에 소사 박사는 "이 연구 결과가 언젠가는 암 치료에 중요할 수 있지만 비타민 D의 정확한 작용기전은 아직 모른다"며 "비타민 D 결핍을 바로잡는 게 암 예방이나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단정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Evangelos Giampazolias et al., 'Vitamin D regulates microbiome-dependent cancer immunity', http://dx.doi.org/10.1126/science.adh795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혈액원·적십자병원 노조 오는 24일 18년만에 파업 예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가 18년 만에 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적십자 노조는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임금협상 결렬 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5%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24일 보건의료노조 산별 총파업에 맞춰 26개 사업장에서 동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전국에 15개 혈액원과 7개 적십자병원 등을 운영 중으로,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면 2007년 산별 총파업 동참 이후 18년 만이 된다. 5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진행해온 적십자 노조는 ▲ 총액 인건비제도 폐지 ▲ 혈액사업장 노동조건 개선 ▲ 적십자병원 경영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혈액사업장 노동자들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혈액 공급을 한시도 멈출 수 없어 하루 10시간 이상, 밤 11시를 넘겨야 마치는 장시간 노동을 감내해야 한다"며 "헌혈의 집 또한 연간 350일 이상, 평일 20시까지 의무 운영되면서 직원들의 저녁과 주말이 모두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측은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낡은 공공기관 총액 인건비제도 탓에 공무원 임금 인상률조차 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세포 도핑' 피 한방울로 찾는다…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유전자나 세포치료제를 활용해 체내 기능을 조작하는 첨단 유전자·세포 도핑을 막을 수 있는 고감도 진단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도핑콘트롤센터 성창민 책임연구원이 고려대 박희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다중 유전자·세포 도핑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근력이나 지구력을 극대화하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적혈구 생성인자와 같은 유전자 기반 약물들은 2003년 세계반도핑기구(WADA)에 의해 금지됐으나, 이를 판별할 진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다. 도쿄올림픽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PCR) 기반 유전자 증폭 검사법이 시범 도입됐지만 체내 단백질과 구조가 같은 체외 유전자 물질은 구분이 어려워 DNA 수준에서 체외 물질을 구별할 기술 필요성이 커져 왔다. 연구팀은 시료 전처리 과정 없이 혈액 내에서 표적 유전자를 직접 증폭하고 이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통해 형광 방식으로 유전자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간 성장 호르몬을 주입한 실험용 쥐 모델에 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 손끝에 맺히는 핏방울보다 작은 5㎕(마이크로리터, 1㎕는 100만분의 1ℓ) 만으로도 90분 이내 체외 유전자 2.5개 존재까지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