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동남아 여행할 때 모기 조심하세요…뎅기열 환자 급증

중남미 뎅기열 환자수 역대 최다…출국 전 정보 확인하고 모기기피제 사용
의심증상 있으면 입국 검역시 신고하고 병원갈때 여행력 알려야

 중남미·동남아 등지에서 뎅기열이 유행하자 방역당국이 해외여행시 모기 물림 등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이들 지역에서 환경·사회적 요인으로 뎅기열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모기 물림 예방수칙을 지키고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검사와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29일 밝혔다.

 뎅기열은 뎅기바이러스를 보유한 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 등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병으로 5∼7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두통·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뎅기출혈열 등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 치사율이 약 5%에 달한다.

 현재 국내에는 상용화된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게 조심하는 등 예방이 중요하다.

 브라질·아르헨티나·페루·파라과이 등 24개국의 올해 1∼3월 뎅기열(의심)사례는 총 48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었다.

 인도네시아·방글라데시·말레이시아·태국 등 동남아에서도 전년 대비 환자 발생이 증가했다.

 인도네시아의 2024년 15주차 뎅기열 발생 건수는 6만2천건으로 전년 대비 174.9% 급증했고, 방글라데시는 1천831건으로 111.2% 늘었다.

 질병청은 가정의 달인 5월 해외여행과 해외에서의 입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국민은 여행 전 외교부(http://www.0404.go.kr)·질병청 해외감염병 NOW(http://해외감염병now.kr) 누리집에서 해외 감염병 발생 정보를 확인하고 모기 기피제와 모기장 등을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귀국 단계에서 뎅기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검역관에게 신고해 무료 검사를 받고 입국 후 2주까지는 증상 발생시 의료기관에 방문해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탈모 예방에 효과…특허 등록"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기침·가래·당뇨 등 증상에 약재로 활용돼 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산림바이오자원 발굴을 위해 170여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유두세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에서는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역시 보리밥나무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제품을 제작해 활용성과 안정성까지 검토했다고 산림과학원은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