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활동 실시간 시각화 기술 개발…수술 성공률 개선"

UNIST "병변 조직과 정상 조직 보다 정확하게 구분…실효성도 입증"

  뇌 수술의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실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14일 UNIST에 따르면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최영빈 교수팀은 뇌 표면 뉴런 활동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뇌피질뇌파 마이크로디스플레이'(iEEG-microdisplay) 기술을 만들었다.

 병변이 일어난 특정 뇌 영역을 수술로 제거할 때는 기능적 경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뇌 수술 중 병리학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병변 조직을 정확히 제거하고 뇌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수천 채널의 뇌피질뇌파 전극(micro-ECoG)과 수천 픽셀의 유연성 마이크로 LED를 결합해 만든 마이크로디스플레이는 실시간으로 뇌 활동을 시각화해 신경외과 의사의 수술을 지원하게 된다.

 연구팀은 돼지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기술의 실효성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번 기술 개발로 뇌 수술 중 뇌 표면의 전기생리학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게 됐다"며 "절개해야 할 뇌 조직과 보존해야 할 중요한 뇌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이 임상에 적용되면 환자의 뇌 수술 결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지난 4월 24일 게재됐다.

 연구는 미국 UC 샌디에이고(UC San Diego), 오리건 보건과학대학(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MGH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프로포폴 대체' 불법 투약 에토미데이트, 마약류로 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신마취유도제 에토미데이트 등 오남용 우려 물질 2종과 유엔(UN)이 마약유로 지정한 엔-필로리다노 프로토니타젠 5종 등 7종을 마약류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지난 12일 이런 내용의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공포했다. 이번에 마약류로 지정한 물질은 국내 마약류안전관리심의위원회에서 항정신성의약품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결정된 에토미데이트, 렘보렉산트와 제68차 유엔 마약위원회(CND)가 마약류로 지정한 물질 5종이다. 에토미데이트는 불법 유통 등으로 2020년부터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해 관리했으나, 이후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 프로포폴 대용으로 불법 투약되거나 오남용하는 등 사회적 이슈가 지속되면서 선제적으로 마약류로 지정됐다. 마약류로 지정되면 의약품 수입부터 투약까지 모든 단계서 취급 보고 위무가 부여돼 실시간 정부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식약처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마약류 지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개정이 국민 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식약처는 에토미데이트 성분이 마약류로 변경되면서 의약품 수입업체 준비 과정에서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협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