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4일)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신규상장
▲ 교보18호스팩[0041B0]
▲ 지투지바이오[456160]

 

    ◇ 추가 및 변경상장
▲ 키움증권 [039490](주식전환 1만3천296주 15만417원)
▲ 현대바이오 [048410](무상증자 4천801만9천352주)
▲ 엑시온그룹 [069920](유상증자 55만4천938주 1천802원)
▲ 엔솔바이오사이언스 [140610](유상증자 78만9천140주 2만5천900원)
▲ 더바이오메드 [214610](유상증자 215만5천172주 4천640원, 유상증자 107만7천586주 4천640원)
▲ 셀트리온 [068270](스톡옵션 3천659주 7만9천311원, 스톡옵션 3천223주 7만1천999원, 스톡옵션 5천244주 15만6천285원, 스톡옵션 3천436주 15만6천746원, 스톡옵션 3천250주 12만3천606원)
▲ 크래프톤 [259960](스톡옵션 1천200주 19만원)
▲ 현대무벡스 [319400](스톡옵션 12만4천138주 2천50원)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476040](스톡옵션 5천주 5천224원, 스톡옵션 3천100주 2만1천332원)
▲ 매커스 [093520](주식소각)
▲ 케이엠더블유 [032500](CB전환 5만3천395주 1만862원)
▲ 파인디앤씨 [049120](CB전환 99만5천575주 904원)
▲ 아스트 [067390](CB전환 400만주 500원)
▲ 협진 [138360](CB전환 358만8천516주 836원)
▲ 에이비온 [203400](CB전환 32만7천546주 6천106원)
▲ 올릭스 [226950](CB전환 27만834주 1만6천283원)
▲ 폴라리스세원 [234100](CB전환 4만6천82주 1천85원)
▲ 옵티코어 [380540](CB전환 7만3천382주 1천499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HLB제약[047920] 상반기 영업이익 1억9천500만원…"매출 역대 최다"
▲ 한화생명[088350] 상반기 순이익 4천615억원…작년 동기대비 30.8% 줄어
▲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상반기 매출 3천518억원…2.3% 증가
▲ 아시아나항공 2분기 영업이익 340억원…흑자전환
▲ 더존비즈온[012510] "바이오테크이노밸리피에프브이 주식 392억에 취득"
▲ 롯데건설 상반기 영업익 409억원…부채비율 200% 이하로
▲ LS증권[078020], 2분기 영업익 264억원…전년 동기 대비 63.7% 증가
▲ 루닛[328130], 상반기 매출 371억원…역대 반기 최대
▲ 하반기 실적 반등 노리는 게임사들, 2분기는 '숨고르기'
▲ 뷰노[338220], 2분기 매출 93억원…10분기 연속 성장
▲ 한화투자증권[003530], 2분기 영업익 377억원…작년 대비 흑자 전환
▲ JYP엔터 2분기 영업이익 529억원…작년 대비 466.3%↑
▲ 꿈비[407400] "옥토아이앤씨 주식 43억원어치 취득…지분율 90%"
▲ 현대해상[001450], 상반기 순이익 4천510억원…작년동기 대비 46%↓
▲ 넥슨, 던파 모바일 하락에도 반기 매출 '사상 최고'
▲ HMM 올해 2분기 영업익 2천332억원…해상운임 하락에 63.8%↓
▲ 메리츠증권 2분기 영업이익 3천4억원…작년 동기 대비 13.2%↓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2분기 영업이익 9천497억원…작년 대비 5.6%↓
▲ 오아시스마켓, 2분기 '역대 최고' 매출…영업이익은 절반으로
▲ SK네트웍스 2분기 영업이익 430억원…전년대비 48.0%↑
▲ 마이크론 "내년 HBM 완판 자신"…불붙는 엔비디아 선점 경쟁
▲ 삼성생명[032830] 2분기 영업이익 9천154억원…작년 동기 대비 1.1%↑
▲ 코오롱베니트, 재무 공시 자동화 설루션 출시
▲ 케이뱅크, 2분기 순익 682억원 역대 최대…작년 동기의 2배
▲ 대신증권[003540] "'어닝 서프라이즈' 증권업…당분간 보수적 접근"
▲ 한투증권 "엔씨소프트[036570], 신작 모멘텀 대기…눈여겨볼 게임주"
▲ 더블유게임즈[192080] 2분기 영업이익 543억원…19%↓
▲ 삼성화재[000810] 2분기 영업이익 8천115억원…작년 동기 대비 3.7%↑
▲ 펄어비스[263750] 2분기 영업손실 118억원…적자 확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통합돌봄 코앞인데 방문진료 의원 2.8%뿐…"수가 인상해야"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살던 곳에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돌봄'이 내년 3월 전국에서 시행되지만, 재택의료 서비스인 방문진료 참여 의원은 3%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진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가 인상 등 현실화, 표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의사와 환자 대상 홍보 등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했다. 정혜민 서울시립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과장은 지난 12일 국회 남인순·서미화 의원과 대한의사협회가 공동 주최한 '고령사회, 일차의료 방문·재택의료 활성화' 국회 토론회에서 이같은 현황을 공개했다. 2019년 12월 시작된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은 거동이 불편해 의료기관 내원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 내 일차의료기관 소속 의료진이 환자 자택을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정 과장에 따르면 현재 의원급 의료기관 1천7곳이 방문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나, 전국의 총의원 수에 비하면 참여율은 2.8%에 불과하다. 더욱이 방문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중에서 실제 수가를 청구한 기관은 303곳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처럼 참여율이 저조한 데에는 의사들조차 방문진료에 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