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6개월·1년 전망'도 준비…날씨 예보 기간 늘어난다

내년에 '향후 6개월 평균기온' 제공…2029년에는 '6개월 최고·최저기온'까지
연 기후 전망, 내년 시범서비스…인공지능(AI) 모델 적극 활용

 기후변화에 맞춰 기상청이 날씨를 예보하는 기간이 차츰 늘어난다.

 예보 선행시간이 길어지면 대비가 보다 용이해진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기상청은 현재 열흘인 중기예보 기간을 14일로 연장하는 방안을 연내 마련한다.

 내년부터는 '향후 2주간' 날씨를 예보하겠다는 것으로 이에 맞춰 수치예보모델 자료 생산이 가능한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예컨대 1일 오전 6시에 발표된 중기예보에는 4일부터 11일까지 하늘 상태와 강수 여부, 강수확률, 최저기온, 최고기온 예상이 담겼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장기전망도 확대한다.

 우선 매달 내놓는 '3개월 전망'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시스템 개발을 거쳐 2028년 일사량과 구름양, 2029년엔 바람에 관한 예상 정보를 추가한다.

 또 '6개월 전망'과 '연 기후 전망'을 신설한다.

 6개월 전망은 내년에 평균기온, 2029년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고, 연 기후 전망은 올해 시범생산과 내년 시범서비스를 거쳐 2026년 정식으로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6개월 앞 날씨 전망이 나오면 3개월 단위 전망만 내놓을 때보다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며, 종전의 3개월 단위로 끊어지던 사계절 개념이 흐려지는 상황에 대응하기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청이 2021년 내놓은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991~2020년 계절별 일수는 봄 91일, 여름 118일, 가을 69일, 겨울 87일이다.

 1912~1940년이나 1981~2010년 30년에 견줘 봄과 여름은 길어지고, 가을과 겨울은 짧아졌다.

 기상청은 예보 선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상 예측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미 올해 초부터 구글 딥마인드 '그래프캐스트', 화훼이 클라우드 '판구-웨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이맥스 등 빅테크 모델에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 등의 분석자료를 반영해 산출한 전망치를 중기예보 시 참고하고 있다.

 그래프캐스트를 비롯해 빅테크들이 최근 1~2년 사이 내놓은 AI 모델들은 현재 정확도가 가장 높은 수치예보모델인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통합예측모델(IFS)과 비교해 예측력이 앞선 측면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상청은 국립기상과학원을 통해 자체 AI 모델 '알파웨더'도 개발 중이다.

 현재는 초단기 강수 예측을 중심으로 모델 개발이 진행 중으로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여 이달부터 1년간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시범운영을 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