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 채취 기간 미세먼지 노출되면 시험관아기 성공률 급감"

호주 연구팀 "채취 전 2주 고농도 PM10 노출시 성공률 38% 감소"

 시험관아기 시술을 위해 난자를 채취하기 전 여성들이 높은 수준의 미세먼지(PM10)에 노출되면 시험관아기 성공률이 40% 가까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수비아코의 킹 에드워드 메모리얼 여성병원 시배스천 레더시치 박사팀은 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제40회 유럽 인간생식·발생학회(ESHRE) 회의에서 난자 채취 전 2주~3개월간 미세먼지 수준과 시험관아기 성공률 관계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ESHRE 학술지 인간 생식(Human Reproduction)에도 게재됐다.

 난자 채취 전 24시간과 2주, 4주, 3개월에 걸쳐 PM10과 초미세먼지(PM2.5) 등 대기 오염 물질 농도를 조사하고, 여성들을 노출된 PM10과 PM2.5 오염 수준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시험관아기 성공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난자 채취 전 2주 동안 가장 높은 PM10 오염(18.63~35.42㎍/㎥)에 노출된 경우 가장 낮은 PM10 오염(7.08~12.92㎍/㎥)에 노출된 여성들보다 시험관아기 성공률이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난자 채취 전 3개월 동안 노출된 PM2.5 오염 수준도 성공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장 높은 PM2.5에 노출된 그룹의 성공률은 가장 낮은 수준의 오염에 노출된 그룹보다 34% 낮았다.

 연구팀은 연구 기간에 대기질이 전반적으로 좋았음에도 대기 오염이 성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게 중요하다며 이 기간 PM10과 PM2.5가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을 초과한 날은 각각 0.4%와 4.5%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레더시치 박사는 "난자 채취 전 2주~3개월간 미세먼지 오염에 노출되면 그에 비례해 성공률이 낮아졌고 냉동 배아 이식 당시 대기질은 성공률과 관련이 없었다"며 "이는 대기 오염이 임신 초기뿐만 아니라 난자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는 국제적으로 허용되는 오염 상한선을 초과하는 날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도 대기 오염이 시험관아기 성공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오염 물질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공중 보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Human Reproduction, Sebastian Leathersich et al. 'Particulate matter (PM2.5 and PM10) exposure prior to oocyte collectio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ive birth rates in subsequent frozen embryo transfers', https://academic.oup.com/humrep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