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뇌 함께 커지지 않아…인간 뇌는 추세 벗어난 특이 진화"

英 연구팀, 포유류 1천500여종 분석…"인간 뇌 진화속도, 다른 동물의 23배"

 동물의 몸이 커지면 뇌도 커진다는 진화 통설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물의 뇌와 몸 크기 분석 결과 몸이 매우 큰 동물은 뇌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간의 큰 뇌는 일반적 진화 추세를 벗어난 특이 현상으로 분석됐다.

 영국 레딩대와 더럼대 연구팀은 9일 과학 저널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에서 포유동물 1천504종의 뇌와 몸 크기 사이의 관계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인간은 다른 동물들에 비해 몸보다 뇌가 상대적으로 크며, 큰 뇌는 지능과 사회성, 행동 복합성 등이 발전하는 토대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인간 뇌의 이런 진화 과정은 많은 부분이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그 결과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뇌가 비례적으로 커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와 신체 크기는 곡선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동물의 몸집이 클수록 뇌가 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간의 뇌 크기는 이 같은 포유류 전체의 전반적 뇌 크기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모 사피엔스는 진화하는 동안 체질량 대비 뇌 질량 변화율이 다른 모든 포유류 종의 중앙값보다 23배나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인간의 뇌 크기 진화 속도가 다른 포유류보다 20배 이상 빨랐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또 영장류와 설치류, 육식동물의 경우 뇌 변화 속도가 다른 동물보다 빨랐으며, 통설과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대적 뇌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모든 포유류 그룹은 뇌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급격한 변화를 보였는데 박쥐는 처음 진화했을 때 뇌가 빠르게 작아진 후 매우 느린 변화율을 보였다며 이는 비행과 관련된 진화적 제약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레딩대 조애나 베이커 박사는 "이 연구에서는 한 가지 미스터리가 드러난다"며 "몸집이 매우 큰 동물의 경우 뇌가 너무 커지지 않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 그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 크기를 넘어서는 뇌는 유지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이런 뇌 크기 패턴은 조류에서도 볼 수 있는 만큼 동물에서 일반적인 현상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Ecology & Evolution, Chris Venditti et al., 'Co-evolutionary dynamics of mammalian brain and body size', https://doi.org/10.1038/s41559-024-02451-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내년부터 56·66세는 국가건강검진서 폐기능 검사 받는다
내년부터 56세와 66세 국민은 국가건강검진에서 폐기능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올해 제1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열어 '폐기능 검사 신규 도입방안'과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 사후관리 강화방안'을 심의·의결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주요 호흡기 질환으로 유병률이 12%로 높은 편이지만 질병에 대한 인지도가 2.3%로 낮은 데다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 국가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날 의결로 내년부터는 56세와 66세 국민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폐기능 검사를 함께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게 가능해지고, 금연 서비스와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 등 사후 관리 체계와 연계돼 중증으로 악화하는 걸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복지부는 기대했다. 이날 위원회에선 건강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나와 의료기관 진료 시 본인부담금을 면제하는 항목에 이상지질혈증 진찰료와 당뇨병 의심 환자의 당화혈색소 검사를 추가하는 내용도 의결됐다. 현재는 건강검진 결과 고혈압, 당뇨, 폐결핵, C형간염, 우울증, 조기 정신증이 의심될 경우 검진 후 첫 의료기관에 방문 시 진찰료와 검사비 등 본인부담금이 면제되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