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인체 침투 억제 확인…인체 침투 막는 화합물 발견"

UNIST, 유전체 항상성 조절해 감염 차단…"치료제로 발전 가능성"

 유전체 항상성을 조절해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화합물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발견했다.

 UNIST에 따르면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명경재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장) 연구팀은 화합물 'UNI418'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 침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인체 세포가 외부 물질을 흡수하는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 과정을 통해 침투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PIKfyye'와 'PIP5KIC'라는 단백질을 저해하면 유전체 항상성이 유지돼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화합물 'UNI418'이 유전체 항상성을 돕는 동시에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투와 증식을 막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기존 치료제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저해해 증식을 막았지만, 변종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작았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바이러스 감염 과정을 단계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변종 코로나바이러스나 새로운 바이러스 치료제로 이어질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학술지 '실험분자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지난 1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