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회, 현안개선특위 구성…"심정지 즉각 치료 병원 안내"

 대한응급의학회는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른 응급의료 분야의 현안을 개선하고자 학회 차원의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응급의학회는 특위를 통해 급성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즉각 전문 심장소생술과 소생 후 전문 처치를 시행할 수 있는 진료 역량과 의지를 가진 병원들을 조사해 그 명단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 응급의학 전문의들이 체감하는 시도별 응급의료 현황을 파악하고, 토론회 등을 열어 응급의료체계 유지 대책도 논의한다.

 이 밖에 응급의학회는 응급의료 관련 한시적 수가(의료 서비스 대가)의 제도화·상시화, 응급의학과 전공의·전임의 수련 보조수당 지급 등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실질적 대책을 관계 당국에 촉구할 방침이다.

 김인병 응급의학회 이사장은 "국민들께서 느끼실 응급의료에 대한 불편과 불만, 불안에 깊이 공감한다"며 "응급의료 분야에 실질적 개선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