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율 견인하는 전자담배…여성 사용률 5년 새 2배로

일반담배 사용률 5년째 '제자리'…전자담배 5.1→8.1%
2019∼2023년 남성 흡연율 소폭 줄고 여성은 증가세

 전자담배가 흡연율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2019∼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분석해 발표한 담배제품 지자체별  현재 사용률 현황에 따르면 2023년 한국 성인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22.2%로 2019년(21.6%)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담배제품 유형별로 보면 일반담배(궐련) 흡연율은 2019년과 2023년 모두 20.3%로 5년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전자담배(액상형 또는 궐련형) 사용률은 2019년 5.1%에서 2023년 8.1%로 3.0%포인트가 늘어났다.

 여성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2019년 3.2%에서 2023년 4.9%로, 남성보다 낮아도 증가 추세에 있다.

 여성의 일반담배 흡연율은 3.0%에서 4.0%로 1.0%포인트가 늘어났고, 전자담배 사용률은 1.0%에서 2.1%로 약 2배가 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40대(47.8%)가, 여성은 20대(8.9%)가 가장 높았다.

성별 담배제품 현재사용률(2019∼2023년)

 작년 시도별 담배제품 사용률은 충북이 25.0%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14.8%로 가장 낮았다.

 17개 시도 중 전년 대비 작년 담배제품 사용률이 악화한 곳은 강원(+1.8%포인트), 충북(+1.6%포인트), 충남(+1.4%포인트) 등 총 6곳이었다.

 흡연율이 개선된 시도는 총 11곳으로 세종·제주(-3.2%포인트), 인천(-2.3%포인트), 경남(-1.0%포인트) 등이다.

 시군구별 3년(2021∼2023년) 평균 담배제품 사용률은 인천 미추홀구가 29.2%로 가장 높았고, 경기 포천 28.3%, 충북 증평 27.9%가 뒤를 이었다.

 담배제품 사용률이 낮은 시군구는 경기 과천(13.8%), 경기 성남분당구(14.0%), 경기 수원 영통구(15.8%) 등이었다.

 직업별로는 비사무직일수록 흡연율이 높았다.

 기능·단순·노무직군 종사자의 담배제품 사용률은 34.4%로 가장 높았고, 서비스·판매직 22.8%, 농림어업 21.8% 등의 순이었다. 전문행정·관리직의 흡연율은 19.6%였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전자담배도 일반담배처럼 호흡기·심뇌혈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니코틴 등 중독성이 강한 물질과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각 지역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참여해달라고 권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