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수산물에 '대하·전어'…여행지는 '화성 전곡리마을'

해양생물은 '옥덩굴', 등대는 '울릉도등대'

 해양수산부는 9월 '이달의 수산물'로 대하와 전어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수산물로 아르기닌이 풍부해 근육 형성과 면역력 향상에 좋고 소금구이, 튀김, 찜, 회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가을철에 많이 잡히는 대하는 양식 흰다리새우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뿔이 코끝보다 길게 나오고 몸통보다 수염이 길다. 특히 꼬리가 초록빛을 띠는 특성이 있다.

 이달의 수산물인 대하와 전어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정보는 어식백세(https://blog.naver.com/korfish01)에서 확인할 수 있다.

 9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로는 경기도 화성시 전곡리마을과 경북 울진군 해빛뜰마을이 선정됐다.

 전곡리 어촌 체험 휴양 마을은 서해안 최대 규모의 요트 정박지(마리나)를 갖춘 곳으로, 푸른 바다와 하얀 요트가 조화를 이룬 풍경이 유명하다.

 다음 달 21일에는 '전곡항 망둥어 낚시 대회'가 개최된다. 갯벌 체험과 전곡항 해적선 타기 체험 등이 준비돼 있어 아이들과 방문하기 좋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망양해수욕장에 위치한 해빛뜰 어촌 체험 휴양 마을은 동해안의 맑은 바다와 소나무 군락이 어우러진 경관이 특징이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해빛뜰 펜션에서 동해를 감상할 수 있다. 펜션 옆 캠핑장에선 소나무 그늘에 텐트를 설치하고 휴식할 수 있다.

 이달의 어촌 여행지에 관한 자세한 관광 정보는 바다여행 누리집(www.seantou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이달의 해양생물'은 옥덩굴이다.

 옥덩굴은 암반에 붙어 자라며, 가지에서 알맹이 모양의 작은 가지가 돋아나 포도와 비슷한 형태를 띠는 해조류다.

 옥덩굴과 유사 종인 바다 포도는 일본, 베트남에서 식용으로 수입되고 있다. 한국의 옥덩굴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식재료라는 평가를 받는다.

 옥덩굴은 제주와 일부 동해안에서 서식하다가 최근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강원도까지 확대됐다.

해수부는 작년 4월 옥덩굴을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해 관찰 중이다.

 '이달의 등대'로는 경북 울릉군 울릉도등대가 선정됐다.

 1958년 설치된 울릉도등대는 25초 간격으로 하얀색 불빛을 깜빡이며 동해를 지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등대는 바람을 기다리는 언덕이란 뜻의 대풍감 절벽 위에 있다. 등대에서 학포 해변과 코끼리 모양의 바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울산 울주군 온산읍에 있는 목도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됐다.

 섬 모양이 사람의 눈처럼 생겨 목도(目島)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동백나무가 많아 동백섬으로 불리기도 하는 목도에는 후박나무,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소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