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절이는 김치의 한 종류지만,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만들어 먹는 생김치다. 신선한 채소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어 입맛이 떨어지기 쉬운 봄철에 특히 잘 어울린다. 무엇보다 담그는 과정이 간단하고 시간도 많이 들지 않아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에게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김치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겉절이는 발효된 김치의 강한 맛과 특유의 질감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에게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간장을 활용한 부추겉절이는 샐러드처럼 간편하고 가볍게 즐길 수 있어 김치를 처음 접하는 이에게도 좋은 첫걸음이 된다. 그중에서도 부추는 예부터 우리나라 어디서나 쉽게 자라고 자주 사용되던 겉절이 재료다. 특유의 향과 알싸한 뒷맛이 식욕을 자극하고, 몸에 좋은 효능도 많아 사랑받아 왔다. 부추는 기운을 북돋아 주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채소다. 혈액 순환을 도와주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에도 효과가 뛰어나며, 간과 위장, 신장 기능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특히 부추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활성산소를 억제해주는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다. 이 성분은 세포 노화를 늦추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냉증이 있거나 배가 자주 차고 설
우리나라 사람은 산과 들에서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아내 식탁에 올려 건강을 더하는 데 특별한 재주가 있다. 봄은 겨울을 견뎌낸 사람과 동물, 식물 모두에게 따뜻한 온기와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는다. 따스한 봄바람이 불면 아지랑이 사이로 싹트는 희망처럼 봄나물도 땅속에서 고개를 내민다. 그중에서도 가장 반가운 존재는 겨우내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파릇한 싹을 틔우는 봄나물이다. 밭둑과 들판에 잘 자라며 봄바람에 흔들리는 봄나물은 겨우내 잃었던 입맛을 돋우는 소중한 먹거리다. 나물은 사계절 내내 우리 식탁에 오르지만, 특히 봄에 나는 나물은 더 귀하다. 삶거나 볶거나 생으로 무쳐 먹는 나물은 봄철 입맛을 돋우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양지바른 곳에서 먼저 싹을 틔우는 냉이와 달래는 봄을 알리는 전령과도 같다. 흙 속은 아직 차가운 기운이 남아 있지만 냉이와 달래는 누구보다 먼저 봄의 기운을 감지하고 얼굴을 내민다. 냉이는 단백질, 칼슘, 철분이 풍부해 춘곤증 예방과 피로 해소에 좋다. 달래는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해 빈혈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성에게 특히 좋은 쑥은 무기질과 칼슘, 인, 비타민 A와 C가 풍
특유의 아삭한 식감과 개운한 맛으로 국과 무침 등에 쓰이는 콩나물은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다. 콩나물의 씨앗인 대두는 인간의 먹거리와 가축의 사료 등으로 인기 있지만, 싹을 틔워 재배한 콩나물은 한국인들만 먹는다는 내용이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와 화제가 됐다. 그렇다면 콩나물은 다른나라 사람들이 먹지 않는다는 게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콩나물은 중국의 조선족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한국인이 즐겨 먹는다. 콩나물뿐만 아니라 골뱅이, 번데기, 깻잎, 산낙지, 홍어도 외국인의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에 이색 경험으로 자주 소개될 정도로 한국인에게만 익숙한 대표적인 먹거리다. ◇ 콩나물, 값싸고 재배 쉬워 한국만 애용 콩나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재료 중에 하나다. 구글에서 영어로 콩나물을 뜻하는 'Soybean sprout'을 검색하면 대부분 'Kongnamul'이라는 한국어 발음까지 병기돼있다. 조리법을 소개하는 유튜브 동영상과 게시물 역시 대부분 한국식 반찬을 다룬다. 한식진흥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콩나물을 최초로 기른 시기는 삼국시대 말이나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935년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울 때 식량 부족으로 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