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해지는 고등어·갈치·오징어…2월에 생산량 줄어 가격 상승

2월 기상 악화로 조업 일수 줄고 기후변화에 어장 형성 부진
해수부, 비축 물량 방출하고 수산물 할인 행사로 물가 안정

 국민 대표 생선인 고등어와 오징어, 갈치 등 대중성 어종 생산량이 지난달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와 소비자 가격이 오르면서 밥상 수산물 물가도 뛰었다.

 24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달 고등어 생산량은 5천608t(톤)으로 전달보다 72.5% 감소했다.

 이는 작년, 평년과 비교해도 각각 38.1%, 10.9% 감소한 양이다.

 지난달 고등어 산지 가격은 ㎏당 5천937원으로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전달보다 28.4% 올랐다. 도매가격도 전달보다 6.7% 상승했다.

 소비자가격(신선냉장)은 ㎏당 1만3천620원으로, 평년과 작년 대비 각각 21.8%, 23.3% 올랐다.

 지난 달 갈치 생산량도 전달 대비 80% 감소한 917t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과 평년에 비해 각각 55.6%, 71.1% 줄어든 것이다.

 갈치의 산지 가격은 전달보다 32.7% 오른 ㎏당 2만420원이다. 소비자가격도 ㎏당 2만3천110원으로 9.0% 올랐다.

 센터는 "갈치(냉동)의 소비자가격은 ㎏당 1만4천533원으로 일부 대형소매점의 할인 행사 영향으로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오징어의 지난달 생산량은 지난 1월보다 91% 감소한 194t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달보다 2.0%, 평년 대비 91.3% 각각 감소한 수준이다.

 센터 관계자는 "동해 중남부 해역에서 오징어 어장이 형성됐지만 자원 밀도가 낮아 생산량이 적었다"고 말했다.

 생산량이 줄면서 오징어(신선냉장)의 산지가격은 ㎏당 8천59원으로 전달 대비 18.3% 올랐다.

 이는 작년과 평년 대비 각각 50.9%, 70.7% 상승한 것이다. 소비자가격은 평년과 작년에 비해 각각 36.7%, 10.7% 올랐다.

 해수부는 지난달 대중성 어종의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기상으로 인한 조업일 감소와 기후변화의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통상 2월에는 기상이 좋지 않아 생산량이 줄어드는데, 지난달에는 특히 기상이 나빠 조업을 나간 날이 5일도 되지 않은 어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상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으로 어장이 이동하고, 어장이 형성돼도 수산물 밀도가 낮은 점도 생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도 "2월은 1월에 비해 어황이 좋지 않은 달이긴 하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오징어와 갈치의 어획량이 예년보다 더 줄어들고 있다"며 "기후변화대책위원회 등을 통해 어민을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수부는 이달 들어 어황이 개선되면서 생산량이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해수부는 비축 물량을 풀고 할인 행사를 하면서 물가를 안정시킬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고등어와 갈치 등은 이달 들어 어획량이 양호한 상황이고, 오징어는 다음 달에 원양산 물량이 들어오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지난 19일부터 수산인의 날 기념 수산물 할인 행사를, 오는 26일부터 수산물 구매 시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도 각각 진행한다고 밝혔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