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추석 '금사과' 파동 없다…도매가 작년보다 30∼40% 하락"

농경연, 관측보고서 발간…"배 도매가격도 10% 내릴 듯"
"축산물값도 내려가…배추·무, 1년 전보다 비싸"
농식품부 "농축산물 물가 안정세…수급대책 추진해 추석물가도 관리"

 올해 과일값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이번 추석에는 작년의 '금(金)사과 파동' 같은 현상은 빚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달에는 사과뿐 아니라 배, 포도, 단감 등의 과일 가격이 전반적으로 1년 전보다 하락해 안정적일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3일 '농업관측 9월호' 보고서를 통해 이달 사과(홍로) 도매가격은 10㎏에 4만4천∼4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36.4∼41.7% 저렴해진다고 예상했다.

 농경연은 배(신고) 도매가격이 15㎏에 약 4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10.4%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뱃값 하락 전망도 올해 생산량이 21만8천t으로 작년보다 18.8%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이달 사과와 배 도매가격은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25.7∼37.1%, 4.7% 비싼 수준이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다른 과일 도매가격을 보면 이달 샤인머스캣은 2㎏에 1만2천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20.5%, 49.2%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단감의 경우 10㎏에 3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19.7%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농경연은 그러나 이달 들어 채소 가격은 일부 품목이 1년 전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면서, 품목별로 혼조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대표적으로 배추 도매가격이 10㎏에 1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는 15.4% 비싸지되, 평년과 비교해선 11.8%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무 도매가격은 20㎏에 2만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42.9%, 25.0% 비쌀 것으로 예측했다.

 이 밖에 주요 채소류 가격을 보면 당근 도매가격은 20㎏에 7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7.7% 내리지만, 평년과 비교하면 33.3% 높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대파 도매가격은 1㎏에 1천850원으로 1년 전보다 7.5% 싸지만, 백다다기오이 가격은 100개에 7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9.9%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은 또 축산물 가격을 보면 추석 2주 전인 성수기 한우 고기 도매가격은 올해 ㎏에 1만8천원으로 작년, 평년 추석 성수기와 비교해 각각 11.2%, 15.9%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도축 마릿수 증가에 따른 것이다. 한우 수급 단계는 작년부터 '심각'을 유지하고 있다. 심각 단계는 수급 불균형으로 농가의 소득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을 뜻한다.

 이달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에 5천400∼5천600원으로 1년 전보다는 1.1∼4.6% 하락하지만, 평년과 비교해선 3.6∼7.4%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농경연은 이달 계란 산지 가격이 특란 10개에 1천600∼1천700원으로 1년 전보다 3.5%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폭염 등 불리한 기상 여건에도 선제적인 정책 추진으로 농축산물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작년 같은 달 대비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13.1%에서 4월 12.0%, 5월 9.8%, 6월 7.3%, 7월 6.2%, 지난 달 2.5% 등으로 하향 추세를 보였다.

 농식품부는 이달 추석 등 성수기 수급 대책을 세심하게 추진해 농축산물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