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다시 유행하는 엠폭스…예방하려면?

 해외에서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가 다시 유행하고 있습니다.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새로운 변종이 아프리카 대륙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며 올해만 2만5천여명이 감염됐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는데요.

 원인 불명의 수포성 발진과 함께 발열, 근육통, 무기력증 등이 동반되면 엠폭스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발병 후 1∼3일이 지나면 동그랗게 붉은 반점이 나타난 뒤 물집이 잡히고 딱지가 생깁니다.

 원래는 아프리카 지역 풍토병이었지만 2022년부터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했는데요.

 같은 해 6월엔 우리나라에도 확진자가 발생했죠. 작년에는 국내 확진자(151명)가 늘어나며 방역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습니다.

 올해 확진자는 지난 8월까지 총 11명인데요. 수도권, 20∼40대 남성 중심으로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국내에서 발견된 엠폭스의 유전형(2형)은 아프리카에서 유행 중인 유전형(1형)보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낮다고 합니다.

 박윤선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일반적인 감염 질환하고 비슷하게 증상이 시작해 특징적인 발진의 단계를 거치는 걸로 되어 있다"면서 "면역력이 떨어진 임산부나 소아 같은 경우에는 좀 심하게 앓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엠폭스는 사람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이나 주변 환경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호흡기계로 전파되는 건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 있고, 감염된 사람이 썼던 이불이나 입었던 옷이라든지 피부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면서 "피부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병변(환부)과 만나거나 병변과 점막들이 만나거나 아니면 성관계를 하거나 이런 접촉을 하게 되면 전파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엠폭스를 예방하려면 손을 깨끗하게 씻고 점막 부위를 만지지 않는 등 개인위생 수칙을 잘 준수해야 하는데요.

 이재갑 교수는 "해외여행을 갔다면 환자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모르는 사람과 성접촉 또는 피부 접촉을 최대한 삼가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감염 위험이 높은 의료진이나 실험실 검사 요원, 엠폭스 환자와의 접촉자를 대상으로 예방 접종도 시행하고 있는데요.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예약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의심된다면 곧바로 병원을 찾는 게 좋은데요.

 박윤선 교수는 "엠폭스는 3급 감염병이어서 의료기관에서 진단하면 신고하게 되어 있어 의료진하고 상의하면 된다"면서 " 또 노출 이후에도 백신을 접종하면 효과가 있는 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이 됐다고 생각하거나 좀 확실한 병력(발병 사실)을 지인으로부터 들었을 때는 백신 접종을 서두르는 게 좋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