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3개월 모유 먹여야…미생물 발달 돕고 천식 위험 낮춰"

美·캐나다 연구팀 "모유 일찍 끊으면 천식 관련 미생물 증가"

 아기에게 모유를 먹여야 할 이유가 더 늘었다. 최소 3개월 이상 모유를 먹이면 아기의 장내 미생물 군집(microbiome) 형성과 폐 건강을 증진, 천식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랑곤헬스와 캐나다 매니토바대 연구팀은 20일 과학 저널 셀(Cell)에서 출산 후 3개월 이상 모유를 먹이면 아기의 소화기관과 호흡기 상부인 비강의 미생물 군집 성숙을 도와 취학 전 천식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태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모유 수유 여부와 생후 첫해 장과 코 미생물 분석 등 다양한 건강 정보를 조사하는 캐나다의 장기 연구 프로젝트 '차일드 코호트 연구'(CHILD Cohort Study)에 참여한 임산부·어린이 3천500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모유에는 모유 올리고당이라는 복합 당분 같은 성분이 있어 모유를 먹이면 이런 성분을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에게 유리하지만, 3개월 전에 모유를 끊고 분유를 먹이면 분유 성분 소화에 도움이 되는 미생물이 서식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분유에서 잘 번식하는 미생물은 결국 모든 아기의 몸에 존재하게 되지만 이런 미생물이 일찍 증식할 경우에는 천식 위험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뉴욕대 리아트 셴하브 교수는 "심장 박동기가 심장 리듬을 조절하는 것처럼 모유 수유는 아기의 장과 비강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의 발달 속도와 순서를 조절한다"며 "미생물 군집이 건강하게 발달하려면 올바른 미생물이 적기에 적절한 순서로 번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 연구에서는 모유만 먹은 아이보다 모유를 일찍 끊은 아이의 장에서 루미노코커스 그나부스(Ruminococcus gnavus)라는 박테리아가 훨씬 빨리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박테리아는 천식 위험 증가 등과 관련이 있는 아미노산인 트립토판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모유 성분과 미생물 데이터를 이용해 기계학습 모델로 천식 위험을 예측한 결과 흡연 노출이나 산모 천식 병력 등 요인을 고려한 후에도 모유 수유 기간이 천식 관련 미생물 군집에 오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셴하브 교수는 "이 연구는 모유 수유가 미생물 군집에 큰 영향을 미치고 호흡기 건강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최소 3개월간 모유 수유가 불가능한 어린이의 천식 예방 전략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Cell, , 'Microbial colonization programs are structured by breastfeeding and guide healthy respiratory development', https://cell.com/cell/fulltext/S0092-8674(24)00782-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생애 마지막 돌봄' 강화…서울시, 호스피스 병상 대폭 늘린다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가운데 서울시가 말기 환자 돌봄 수요에 대응하고 존엄한 생의 마지막을 돕기 위해 호스피스 병동 확충에 나선다. 서울시는 서울시립 북부병원(중랑구 망우동) 호스피스 병상을 기존 25병상에서 54병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기존의 일반 병동 1개를 전면 리모델링해 호스피스 전담 병동 29병상을 추가로 확보했다. 서울시 북부병원은 1·4인실, 임종실 등으로 구성된 25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해왔으나 이번 리모델링을 통해 2·3인실 등 다양한 병실 형태를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시가 운영 중인 시립병원에는 총 145개 호스피스 병상이 확보됐다. 시는 이번 북부병원을 시작으로 서북병원 등 시립병원 전반에 걸쳐 79개 병상을 추가로 확보해 2027년까지 총 224개 호스피스 병상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공공병원 호스피스 병상 확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문인력 구성, 심리·정서 지원, 가족 돌봄교육 등을 포함하는 통합형 완화의료 시스템을 제공하고 전 생애를 아우르는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