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AI 활용' 암 면역치료 신약 개발 국제대회 우승

박근완 책임연구원팀, 캐시 챌린지 2회 연속 우승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천연물신약사업단 박근완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공지능(AI) 신약 후보물질 예측 국제대회 '캐시(CACHE) 챌린지' 4회 대회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고 최근 밝혔다.

 앞서 3회 대회에서는 박 책임연구원 연구팀 등 4팀이 공동 우승했는데, 이번에는 단독 우승한 것이다.

 캐시 챌린지는 신약 개발 첫 단계에서 AI 기술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평가하는 대회로 2021년 출범했다.

 4회 대회는 암 면역치료와 자가면역질환을 목표로 하는 신약 후보 물질 예측을 주제로 전 세계 23개 본선 진출팀이 2년간 경쟁했다.

 총 1천688개 신약 후보 화합물이 신약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이중 KIST 연구팀이 제안한 후보물질이 유일하게 화학적 독창성과 생물학적 활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연구팀은 KIST 자체 개발 AI 모델 'ECBS'(진화적 화합물 결합 유사성)를 활용해 항암 면역치료 주요 목표로 주목받는 CBLB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물질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은 암세포가 몸속 면역 시스템 공격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만큼 이를 억제하면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박 책임연구원은 "천연물신약사업단은 AI 기술을 접목해 천연물 기반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으며, 이번 캐시 챌린지 우승은 그 성과를 대외적으로 입증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국내외 제약사 등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신약 개발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