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탈에 '동네의원'은 늘었다

올해 2∼6월 진료비, 상급종합병원은 작년비 17.5%↓…의원은 2.4%↑
동네의원, 전공의 집단사직 '반사이익'…한지아 의원 "상급종합병원 진료역량 유지토록 지원해야"

 올해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는 급감했지만, 동네 병의원은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최근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등 모든 종별 의료기관의 전체 진료비는 28조5천923억7천만원으로, 전년 대비 4.7% 감소했다.

 특히 전공의 의존도가 높았던 상급종합병원의 감소 폭이 컸다.

 반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병원급 및 의원급 의료기관 진료비는 되레 늘었다.

 올해 2∼6월 병원 진료비는 3조8천998억8천만원으로 2.6% 늘었고, 의원은 10조5천680억6천만원으로 2.4% 증가했다.

 이는 전공의 이탈로 의료 공백이 생긴 상급종합병원 등을 피해 환자들이 병원이나 의원 등으로 발길을 돌린 결과로 분석된다. 동네의원들이 전공의 집단사직의 '반사이익'을 누린 셈이 됐다.

 의료기관은 병상 수와 진료과목 범위 등에 따라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으로 분류된다.

 진료 건수와 진료 인원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줄었으나, 상급종합병원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이 기간 전체 의료기관 진료 건수는 3억509만6천건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그중에서 상급종합병원은 1천749만7천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9%(306만8천건) 급감했다.

 종합병원 진료 건수는 2천827만9천건으로 11.2%, 병원은 2천485만7천건으로 9.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의원의 진료 건수는 2억3천446만2천건으로 4.4%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진료 인원 역시 전체 의료기관으로 보면 4.2% 줄어들었다.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11.3%), 종합병원(8.9%), 병원(8.0%), 의원(2.2%) 순이어서 역시 의원의 감소 폭이 가장 작았다.

 한 의원은 "의료공백 장기화로 인해 중증·응급·희귀 질환 환자의 진료를 전담하는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추가 재정 지원방안 등 상급종합병원의 진료역량이 위축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2023∼2024 종별 월별 진료비 현황(단위:천원,건,%)

 

종별구분 입원/외래 2023(2∼6월) 2024(2∼6월) 증감건수 증감율
상급
종합병원
외래 3,073,597,824 2,850,183,752 -223,414,072 -7.3%
합계 8,319,905,195 6,866,957,769 -1,452,947,426 -17.5%
종합병원 외래 2,650,474,286 2,437,458,396 -213,015,890 -8.0%
합계 7,555,275,810 7,257,426,678 -297,849,132 -3.9%
병원 외래 1,373,429,468 1,328,998,048 -44,431,420 -3.2%
합계 3,800,842,458 3,899,883,104 99,040,646 2.6%
의원 외래 9,598,800,416 9,800,726,695 201,926,279 2.1%
합계 10,316,927,205 10,568,059,008 251,131,803 2.4%
합계 29,992,950,668 28,592,326,560 -1,400,624,108 -4.7%

 

※ 한지아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재구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격 개시…복지부 추진본부 구성
보건복지부는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사업 시행을 앞두고 장관을 필두로 한 통합돌봄 추진본부를 출범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의료·요양 통합돌봄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누리도록 시군구 중심으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추진본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운영 중이던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추진단'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복지부 장관이 단장을 맡는다. 대상자 확대반, 사회서비스 연계반, 의료취약지 지원반 등 총 7개 반으로 구성돼있다. 추진본부는 출범 첫날인 이날 제1차 회의를 열고 통합돌봄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방향을 점검했다. 2023년 7월부터 시작한 통합돌봄 시범사업에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131곳이 참여 중으로, 내년 3월 27일에는 전국적으로 통합돌봄 본사업이 시작된다. 복지부는 추진본부 회의를 매월 2회 이상 열고 본사업을 준비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인프라를 확충할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돌봄은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