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가기 쉽지않은 요즘…진통제도 알고 먹어야

 의정 갈등이 길어지면서 요즘 아파도 제때 병원 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몸에 열이 나거나 통증이 심해도 집에서 진통제를 먹는 경우도 흔하죠.

 그런데 진통제 복용 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데요.

 염증 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해 통증을 가라앉히고 열을 내려가게 하죠.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타이레놀'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는 해열, 진통 효과는 있지만 염증을 없애는 데는 도움이 안 됩니다.

 반면 '아스피린'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는 항염증 효과가 있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진통제는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른 만큼 복용 전에 표기된 주요 성분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는데요.

 잘못 복용할 경우 나타나는 부작용도 각기 다릅니다.

 숙취로 인한 두통 때문에 진통제를 복용할 경우 주의해야 하는데요.

 알코올을 분해하느라 간이 지쳐있는 상태에서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진통제를 복용하면 간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 빈속에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먹으면 위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죠.

 서혜선 경희대학교 약학과 교수는 "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이 대사될 때 독성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에 과다 섭취하면 급성 간부전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 점막이 보호되지 않는 상태로 약 성분에 노출되기 때문에 위장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병용할 경우 위장관계 부작용이나 신독(콩팥)성, 심혈관계 부작용 발현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 "약물 기전이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계열과 비스테로이드성 계열 진통제는 병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진통제에 내성이 생긴다'는 속설 때문에 아파도 약을 먹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통증을 참는 게 더 위험하다고 합니다.

 서혜선 교수는 "비마약성 진통제는 카페인이 함유되지 않는 제품이라면 내성이 없다"면서 "염증성 질환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적절히 복용하지 않으면 질환이 더 악화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적정량의 진통제를 먹었는데도 열이나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원인이 되는 다른 질병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문지연 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진통제를 먹어도 증상이 낫거나 완화되지 않으면 원인을 꼼꼼히 찾아볼 필요가 있다"면서 "진통제 복용 기간은 최소화하는 게 좋고 질환별로 진통제를 얼마나 먹고 어떻게 조절할지는 전문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