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7일 건강도시연맹 세계총회…오세훈 '원헬스' 비전 제안

DDP서 역대 최대규모 개최…건강한 삶을 위한 정책 논의
오세훈 "지구 전체가 하나의 건강 공동체" 제시…서울선언문 채택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구 전체가 하나의 건강 공동체'라는 의미를 담은 원 헬스(One Health) 비전을 선포한다.

 50여개 국내외 도시 시장단 및 50여개 세계기구 관계자들과 건강한 삶을 위한 지속 가능한 정책과 발전 방향도 공유한다.

 서울시는 오는 25∼27일 사흘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제10차 건강도시연맹 세계총회'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 건강도시, 새로운 도시의 미래'을 주제로 ▲ 스마트 건강도시의 방향과 로드맵 ▲ 기후 위기 대응 속 건강 약자를 위한 건강친화도시 조성 ▲ 건강도시 간 파트너십 구축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오 시장은 개회식에서 원헬스 선언과 함께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 모든 시민의 건강권 보장, 약자동행도시 등 '스마트 건강도시 서울'의 3대 비전을 소개하고 서울시 건강정책을 공유할 계획이다.

 이어 수잔 메르카도 WHO 서태평양지역 부사무처장과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의 기조연설이 펼쳐진다.

 서울시의 첫 건강도시 홍보대사인 모델 겸 방송인 한혜진은 서울시민의 건강한 삶을 소개하는 특별스피치도 한다.

 3일간 진행되는 총회는 11개 세션으로 구성되며 건강도시 실현을 위한 열띤 논의가 이뤄진다.

 각 세션에서는 총 63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주제 발표와 패널토론, 우수도시 사례소개 등을 진행한다.

 26일에는 WHO 건강도시지표 심포지엄이 열린다.

 총회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참가 도시가 함께 '건강 형평성을 위한 세대 간 연대와 글로벌 행동 서울 선언문'을 채택한다.

 선언문에는 전 세계인의 건강한 삶 영위를 위한 도시의 역할을 인식하고,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를 만들자는 의지를 담은 8대 약속이 담긴다.

 8대 약속에는 ▲ 형평성 증진 ▲ 세대 간 연대 ▲ 복잡한 문제 해결 ▲ 글로벌 및 지역 행동 ▲ 시민 참여 ▲ 디지털 전환 ▲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 ▲ 기후 변화 대응 등이 포함된다.

 폐회식 후엔 '세계 대학생 건강총회'도 이어진다. 국내외 대학생과 대학원생 8개팀이 건강도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표한다.

 시는 총회 기간 건강도시 서울을 알리고 100만명 이상 시민이 참여하는 열띤 호응을 얻은 시의 밀리언셀러 정책 등도 소개할 계획이다.

 우선 총회장인 DDP에서는 '서울 건강 파빌리온', '정원도시홍보관', 'ESG 기업전시관' 등을 운영한다.

 서울 건강 파빌리온에서는 '손목닥터9988 인터랙티브 월'을 통해 손목닥터9988 개념과 기능을 알아보고, '마음건강 블루터치'를 통해 자가 마음검진을 체험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제10차 건강도시연맹 세계총회는 팬데믹 이후 변화된 환경 속에서 건강도시의 미래를 모색하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총회를 통해 서울시는 세계적인 건강도시로서 위상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건강도시, 웰빙 사회 발전을 위해 전 세계 도시들과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