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잇단 김건희 공천 개입설, 당사자들 부인하면 없는 일인가

'속 빈 강정' 우려 나오는 체코 원전, 장밋빛 홍보만 할 땐가

조세 정의 잣대 될 금투세, 예정대로 내년 시행해야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독대가 이리 어려워서야

▲ 서울신문 = 현실 괴리에 제동 걸린 '필리핀 가사관리사'

또 '금배추'… 기후위기 농산물 대책 세우고 있나

50년 뒤 가장 늙은 나라… 사회 시스템 재편 속도 내야

▲ 세계일보 = 딥페이크 성범죄 처벌법, 늦은 만큼 엄정하게 집행하길

'K 밸류업 지수' 공개, 세법 개정·규제 완화로 실효성 높여야

현안 해법 모색은커녕 불신 해소도 못한 용산·여당 회동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방통위 이어 방심위도 장악할 속셈인가

평화적 자유통일 의지 분명히 한 尹 대통령

▲ 조선일보 = 불편해도 대통령과 與대표는 자주 만나야

민주화 선배 장기표에 조문·애도 한마디 없는 민주당

구글 애플 한국서만 30% 수수료 갑질, 정치권은 방치

▲ 중앙일보 = 블랙리스트 만든 의사에게 모금 운동 … 국민은 안중에 없나

이재명 호위무사로 전락 … 김민석은 왜 이 지경이 됐을까

▲ 한겨레 = 미국 중국산 커넥티드카 금지, 공급망 다변화 서둘러야

자고 나면 추가되는 '김건희 의혹', 그냥 넘어갈 순 없다

독대는커녕 밥만 먹고 헤어진 대통령과 여당 대표

▲ 한국일보 = 김 여사 의혹에 예사롭지 않은 민심… 덮지 말고 해소 나서야

"재벌이 밸류업 발목" 외신 지적… 상법 개정 필요한 이유다

윤-한 '맹탕 만찬'으로 성난 여론 가라앉힐 수 있겠나

▲ 글로벌이코노믹 = 퀄컴의 인텔 인수와 반도체의 미래

시장 불안 요인 금투세 정리 시급

▲ 대한경제 = 시멘트 철도운송 차질, 정부가 대책 내놔야

공공공사 10건 중 4건이 적자… 이대로 방치할 일 아니다

▲ 디지털타임스 = '밸류업 지수' 발표, 후진적 기업지배구조 선진화 계기돼야

巨野, "이화영·김성태 대질조사"… 국회가 재판까지 하나

▲ 매일경제 = 체코원전 기업인 불러 저가수주 추궁하겠다는 野의 몰염치

尹·韓 독대 논란에 퇴색된 당정 지도부 만찬

금투세 끝장 토론 마친 민주당, 이제 이재명이 결단해야

▲ 브릿지경제 = 두코바니 원전 굳히기, '팀코리아' 자세 필요하다

▲ 서울경제 = 글로벌 빅테크 조세 회피 막기 위한 제도 정비 서둘러야

당정대, 신경전 멈추고 국민 눈높이에서 국정 쇄신 나서라

"값싼 전기에 한전 손실 12조" … 가격 현실화 검토할 때다

▲ 이데일리 = 잇단 흉기 난동 예고, 공중협박죄 도입 시급하다

금리 내려도 가계대출 관리 흔들림 없어야

▲ 이투데이 = 금투세 우왕좌왕, '역할극' 아닌 '자해극'이다

▲ 전자신문 = 의료·통신 마이데이터 반쪽 우려

▲ 파이낸셜뉴스 = 취약청년 지원, 양질 일자리 늘리는 게 최선

거대야당의 금투세 '역할극' 논란 볼썽 사납다

▲ 한국경제 = '밸류업 지수' 시동 … 세제 인센티브는 여전히 안갯속

세계적으로 힘 받는 원전 건설, 딴지만 거는 韓 야당

구글코리아 등 빅테크 '조세 회피' 의혹 철저히 따져야

▲ 경북신문 = 김관용, 우리의 소원은 자유민주주의 통일…

▲ 경북일보 = TK 시군구 의료격차 해소 대책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스트리트저널 "美, 복제약은 의약품 관세서 제외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은 제외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보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복제 의약품을 상대로 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관세 조사를 담당하는 상무부의 대변인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서 복제약 관세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되는 수입을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상무부에 의약품에 대한 관세 조사를 지시했으며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후 행정부가 제약사 와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복제약을 관세에서 제외하기로 한 이번 방침은 최종 결정이 아니며 향후 바뀔 수도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복제약은 미국인이 매일 사용하는 의약품의 약 90%를 차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