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멘탈케어 기업 3곳과 AI 정신건강 관리 기술 개발"

 

 SK텔레콤은 멘탈케어 기업 유쾌한프로젝트, 튜링바이오, 이몰로지와 인공지능(AI) 기반 정신건강 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유쾌한프로젝트는 멘탈케어 서비스 제공 플랫폼 '클라이피'와 대면 심리상담센터 '클라이피 심리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튜링바이오는 정신건강 진단 기술 및 우울증 개선 디지털 치료기기 'DepRx' 등을 보유했으며, 이몰로지는 표정 기반 심리 진단 기술과 집중력 향상을 위한 3차 신경자극 저주파 기기 '스마트드림'을 출시한 바 있다.

 협력의 첫 목표는 음성과 표정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와 우울증 징후, 주의·집중력 저하 현상 등을 탐지하고 맞춤형 치료와 지원 등을 제공하는 AI 멘탈케어 서비스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4개 회사가 보유한 기술 노하우와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정신건강 변화 탐지·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튜링바이오와 이몰로지는 정신건강 변화 탐지와 디지털 치료 기술 개발, 유쾌한 프로젝트는 멘탈케어 설루션 개발을 각각 담당한다.

 향후 정신건강 질환 관련 탐지 분야를 계속 늘려 AI 멘탈케어 설루션 기술개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