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중인 국내 신약 3천233개…미·중 이어 3위"

임상시험지원재단 "1년 새 11% 증가…항암제 비중 가장 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파이프라인'(연구개발 중인 신약 프로젝트)이 3천233개로 미국, 중국에 이어 3번째로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은 이달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제약시장 및 임상시험 동향'에서 제약 산업 정보 서비스 기업 사이트라인(Citeline)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미국(1만1천200개), 중국(6천98개)에 이어 3번째로 많은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순위는 지난해와 비교해 1단계 상승한 것이다.

 당시 2천917개로 미국, 중국, 영국에 이어 4위였던 한국의 파이프라인이 1년 새 약 11% 늘어난 결과다.

 전 세계 파이프라인을 유형별로 보면 항암제 비중이 40%로 가장 컸다. 이어 신경계(16.3%), 영양 및 대사질환(14.5%) 순이었다.

 한국으로 범위를 좁혀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이 주관하는 국가신약개발사업 협약 과제에 등록된 파이프라인 345개 가운데 항암제 비율이 49.5%로 단연 1위였다.

 면역계(12%), 대사질환(10%) 파이프라인이 각각 2위, 3위로 집계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 비교하면 규모가 작지만, 최근 공격적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같은 노력이 성과로 이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업계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매년 유의미한 기술 수출 실적을 내고 상업적 성공을 이루고 있다"며 지난달 국산 항암제로는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승인을 받은 유한양행의 렉라자를 예로 들었다.

 또 파이프라인 가운데 항암제 비중이 큰 점에 대해서는 "그만큼 암 분야에서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조현병 치료제 '할로페리돌', 성장기 뇌 신경 발달 억제"
조현병 치료제인 '할로페리돌'이 성장기 청소년의 뇌 신경 발달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김기석 박사 연구팀이 인간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뇌 오가노이드(유사 장기)를 활용해 할로페리돌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오가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고 신경 발달이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기존 항정신병제 부작용 연구는 성인 환자를 중심으로 운동장애, 대사 이상, 심혈관계 영향 등 단기적인 이상 반응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약물이 태아와 청소년기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뇌 오가노이드에 할로페리돌을 노출하는 실험을 통해 할로페리돌이 세포의 분열·분화 등을 결정짓는 세포 간 신호 전달 경로인 '나치1'(Notch1)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정상적인 신경 발달을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할로페리돌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할로페리돌을 꾸준히 투여한 실험군 비교 결과, 약물의 농도와 시간의 격차가 커질수록 뇌 오가노이드의 성장 속도가 유의미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할로페리돌을 1μM(마이크로몰·100만분의 1몰) 농도로 장기 투여한 49일 차에 독성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