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후 '바로 눕기'와 뜨거운 물 샤워, 물 먹기, 담배피기 안돼"

 밥 먹고 바로 누우면 몸에 안 좋다는 말, 자주 들어보셨죠?…

 식후에는 이것 말고도 주의해야 하는 행동들이 있다고 하는데요.

 식습관만큼 중요한 식후 습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소화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식후에는 소화를 잘 시키기 위해 위와 장으로 가는 혈류량이 늘어납니다.

 이때 뜨거운 물이 피부에 닿으면 신체 표면으로 많은 양의 혈액이 이동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소화에 사용할 혈액이 줄어 결과적으로 음식 분해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 거죠.

 또 뜨거운 물은 소화와 관련된 근육을 이완시켜 소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음식이 위장에 오래 머물면 가스가 발생해 불편한 포만감, 부기 등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심경원 이대 목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식후 30분 이내로 샤워하는 경우 소화를 방해할 수 있는데, 건강한 성인은 크게 문제가 안 되지만 소아나 면역력이 약한 분, 소화력이 많이 떨어져 있는 분은 샤워 후에 식사하는 것이 좋다"면서 "뜨거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게 소화에 부담이 적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밥을 먹고 곧바로 소파나 침대에 누워 TV나 스마트폰을 보는 것도 건강에 좋지 않은데요.

 식사 후 바로 누울 경우 음식물의 이동시간이 길어져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죠.

 김유진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누워 있으면 위산 역류가 더 많아질 수 있어서 위·식도 역류 질환이 있는 경우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면서 "음식물이 위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는 데 보통 2시간에서 6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식후 최소 4시간 정도는 눕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외에도 식후 주의해야 할 행동이 더 있는데요.

 식사 직후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위 속 압력이 올라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또 식후에 담배를 피우면 위산 역류 증상이 악화할 수 있죠.

 그럼, 식사 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습관은 어떤 게 있을까요?

 서희선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식사 전 45분 동안 운동하는 것보다 식후에 15분을 걷는 게 혈당을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다"면서 "혈당 스파이크(식사 후 급격한 혈당 상승) 예방을 위해선 식사 직후에 움직이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서희선 교수는 "취침 직전에 야식을 먹으면 잠을 자는 동안 위와 장이 계속 소화 운동을 하게 돼 호르몬 교란이 있을 수 있고, 식도염이 있는 경우에는 위산 역류가 심해져 수면 무호흡증이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