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환자 급증? 상반기 치료제 성분 처방 작년 전체 육박

'공부 잘하는 약' 오용 우려…25만6천여 명 처방자 중 10대 이하 45%

  '공부 잘하는 약'으로 잘못 알려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 성분 메틸페니데이트를 올해 상반기 처방받은 환자가 이미 지난해 전체 처방 환자 수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용 마약류 월간 동향' 9월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 수는 25만6천84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기간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 28만663명의 약 90%에 해당하는 수치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고, 각성을 높이는 의료용 마약류다.

 문제는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10대 이하 환자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를 성별·연령별로 나눈 결과, 10대 이하 남성이 8만5천106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전체 기간 해당 성분을 처방받은 10대 이하 남성은 9만851명이었다.

 여성은 10대 이하 처방 환자 수가 올해 상반기 총 3만2천780명으로, 20대 여성(3만5천773명)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이 또한 지난해 10대 이하·20대 여성이 각각 기록한 3만4천888명, 3만9천201명에 근접한 수치다.

 이밖에 올해 상반기 20대 남성은 2만8천508명, 30대 남성은 2만630명이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았으며, 30대 여성은 2만3천816명을 기록하는 등 30대 이하 비중이 두드러졌다.

 식약처는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가 대폭 증가한 원인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환자 접근성이 증가한 영향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