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후 3년 심장마비·뇌졸중 위험 커질수도"

 코로나19가 감염 후 최장 3년 동안 심장마비와 뇌졸중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CNN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과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등이 참여한 연구진은 이날 학술지 '동맥경화·혈전·혈관생물학'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25만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해 2020년 코로나19 양성 반응 판정을 받은 1만1천명과 같은 기간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22만2천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감염 후 근 3년간 심장마비, 뇌졸중과 같은 주요 심장질환 위험이 코로나19 미감염자보다 2배 높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는 코로나19가 당뇨병 또는 말초동맥 질환(PAD)만큼이나 심장마비와 뇌졸중의 강력한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연구진은 또 코로나19로 입원했던 사람들 가운데 혈액형이 O형인 경우 A형, B형, AB형인 사람들만큼 심장마비나 뇌졸중 위험이 높지 않았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코로나19 이후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왜 그런지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또 연구진에 따르면 역시 이유는 찾아내지 못했지만, 코로나19 감염으로 증가한 심장질환 위험이 시간이 흘러도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저자인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스탠리 헤이즌 박사는 이것이 이번 연구에서 나온 흥미롭고 놀라운 발견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의 메이요 클리닉 심장전문의 퍼트리샤 베스트 박사도 놀라운 발견이라면서 이런 현상은 코로나19에만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베스트 박사는 감염이 심장마비 위험을 높이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감염 후에는 위험이 비교적 빨리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헤이즌 박사는 코로나19로 입원했지만,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한 사람들은 심장마비나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지 않았다면서 이는 위험을 완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했다.

 또 코로나19에 걸렸다면 심혈관 위험을 낮추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하고 있는지를 특히 주의해야 한다면서 여기에는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 갈등, 무너진 지역·필수공공의료 회복에 전화위복 되길"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이 해결 기미가 보이고 새 정부의 공약인 공공의대 신설과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지역 공공의료계도 힘을 보태고 나섰다. 25년간 공공의료에 헌신하다가 지난 4월부터 영월의료원의 응급의사로 일하고 있는 조승연(62) 전 인천의료원장과 조 전 원장을 시골로 불러들인 서영준(68) 영월의료원장은 한목소리로 "보건의료 체계에서의 공공성 회복"을 강조했다. 의사와 보건 행정가로 대한민국 공공의료를 이끌어온 두 전문가가 근무 중인 영월의료원에서 만나 의정 갈등 문제와 지역·필수·공공의료 분야의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먼저 의정 갈등에 대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될 불행한 사건이었다"고 언급한 조 전 원장은 "사태의 근본 원인은 국민을 위한 의료체계를 고민하지 않고 방치한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고, 그다음은 전문가성을 잃고 직역의 안위를 추구해온 의사들에게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필수 의료의 붕괴는 공공성을 잃고 사익 추구를 무한 허용해온 결과다. 당연히 돈 안 되고 힘든 지역과 필수 분야는 외면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문제의 답은 보건의료 체계에서 공공성의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공공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