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100건당 감염 발생률 2007년 3.39건→2022년 0.78건으로 감소세

질병청, 의료감염 감시연보 첫 발간

 2022년 이뤄진 수술 1만건당 78건은 수술부위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30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2년 전국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KONIS) 감시연보'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의료관련감염을 환자 안전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보고, 2006년부터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와 함께 국내 의료관련감염 전국 단위 감시체계인 KONIS를 운영하고 있다.

 질병청이 처음 발간하는 이번 연보에는 감시체계 시작 이후 연도별 의료관련감염 발생률, 침습적 기구 사용 비율, 원인 병원체 분포 등에 관한 감시 결과가 담겼다.

 병상 규모가 클수록 중심정맥관이나 인공호흡기 등 침습적 기구 사용 비율이 높았고, 기구 관련 감염 발생률은 500병상 이상∼900병상 미만 규모의 의료기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요로감염과 혈류감염 환자의 검체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원인 병원체는 장알균이었다. 폐렴이 발생한 환자의 검체에서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과 폐렴막대균이 많이 나왔다.

[질병관리청 제공]

 수술부위감염 발생률은 감소하는 추세다.

 2022년 100병상 이상 의료기관 310곳에서 이뤄진 주요 스무가지 수술 18만891건을 대상으로 수술부위감염 발생률을 감시한 결과 수술 100건당 수술부위감염 발생률은 0.78건이다.

 수술부위감염 발생률은 2007년 3.39건, 2017년 1.41건, 2021년 0.79건, 2022년 0.78건으로 줄었다.

 의료기관 82곳의 신생아중환자실 혈류감염 발생률도 중심도관 사용일수 1천일당 1.31건으로 전년의 1.44건보다 소폭 감소했다.

 신생아중환자실 혈류감염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가장 많이 분리되는 원인 병원체는 포도알균이었다.

 감시연보는 질병청 누리집(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