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0…"신체리듬 시험시간에 맞추고 마지막 개념정리 필요"

"새로운 것 하기보단 패턴 유지하며 틀린 문제 분석"
입시업계 "작년 수능만큼 변별력 있을 것" 관측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14일)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4일 교육계와 입시업계에 따르면 올해는 의대 정원 확대 발표 이후 처음 치러지는 수능이다.

 의대 진학을 노리는 상위권 N수생의 대폭 진입이 예상되면서 수능 난이도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의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출제 배제 방침 이후 두 번째로 치러지는 수능이기 때문에 변종 문제도 대비해야 한다.

 송 연구사는 "신체 리듬을 수능 시간에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며 "시험 시간과 동일하게 아침에 깨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킬러문항이 빠지면서 작년에는 변별력 있는 문제가 국어 영역에서 나타난 적 있다"며 "돌발 상황이 벌어져 수험생의 심리가 붕괴했는데 이를 강하게 대처할 담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 대표는 "도입부부터 어려운 문제가 나오더라도 과감하게 돌파하고 어떻게 대응할지 미리 연습해두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마지막 개념 정리도 필요하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 모의평가 문제를 점검하면서 출제 가능성이 높은 문제와 핵심 개념을 정리하라"고 충고했다.

 그는 "단 중요 부분이라고 하더라도 세부 사항까지 들추지 않는 것이 좋다"며 "너무 자세한 것까지 살피게 되면 모르는 게 발견되고 당황해 자신감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수능 난이도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한 지난 6월 모의평가보다는 조금 쉽고 지난해 수능과 비슷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두 시험 다 수험생들에게는 어려운 시험으로 평가됐다.

 의대 증원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가세할 것으로 보이는데 평이한 수능으로 출제했다가는 변별력 확보에 실패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임 대표는 "작년 수능만큼 변별력 있는 수능이 될 것이 보인다"며 "반수생과 N수생이 모두 늘어 쉽게 출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52만2천670명의 수험생이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 원서를 냈다.

 재학생이 34만777명(65.2%), 졸업생이 16만1천784명(31%), 검정고시 등 출신이 2만109명(3.8%)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