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시설 수급자 77%, 연간 4주↑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

시설수급자, 항정신병제 장기복용…"중독 등 유발, 세심히 투여해야"

 장기요양시설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86.8%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장기요양수급자(시설수급자 18만7천77명, 재가수급자 70만4천109명)를 대상으로 중추신경계용 약물 사용현황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장기요양서비스는 스스로 일상생활이 곤란한 65세 이상 노인이나 65세 미만이더라도 치매, 뇌혈관성 질환, 파킨슨병 등 노인성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간호, 목욕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다.

 연구에 따르면 전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중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을 복용한 환자는 79.2%였다.

 이중 시설수급자 중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은 86.8%로, 재가수급자(77.2%)보다 9.6%포인트 높았다.

 연간 28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자 비율은 시설수급자가 76.7%로 재가수급자(56.6%)에 비해 20.1%포인트나 높았다.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을 복용하는 시설수급자가 가장 많이 복용하는 약물은 마약성 진통제(57.6%)였고, 항정신병제(53.2%)가 뒤를 이었다.

 연간 28일 이상 약물을 복용하는 시설수급자는 항정신병제(50.7%), 항우울제(33.3%) 순으로 많이 복용했다.

 시설수급자의 마약성 진통제 연간 28일 이상 복용률은 27.3%로, 연간 1일 이상 복용률(57.6%)보다 크게 낮았다.

 반면 항정신병제는 연간 28일 이상 복용률(50.7%)과 연간 1일 이상 복용률(53.2%)은 큰 차이가 없어 대부분 환자가 항정신병제를 장기복용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고 건보공단은 밝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중추신경계용 약물은 중독과 의존, 낙상, 골절위험,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필요한 경우에만 세심하게 투약해야 하지만 장기요양시설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약물 조정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