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의 후성유전적 변화 밝혔다…"치료 열쇠"

생명硏 "선천성 면역 단백질의 DNA 메틸화 정도와 관련"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김미랑 박사 연구팀이 '대사 이상 지방간'(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지방간염으로 악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후성유전적 변화를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방간은 음주 습관에서 비롯되는 '알코올성 지방간'과 음주와 큰 관련이 없는 '비알코올성 지방간'(대사 이상 지방간)으로 나뉜다.

 대사 이상 지방간에 의한 대사이상지방간질환(MALD)은 가벼운 지방간에서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에 이르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데 흡연, 식습관, 운동 부족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서울시보라매병원과 공동으로 MALD 환자의 간 조직을 대상으로 DNA를 분석해 간 섬유증이 선천성 면역 물질인 보체 단백질의 후성유전적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보체란 외부 병원체를 공격해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작용하는 혈액 내 여러 단백질의 집합을 의미한다.

MALD 진행에 따른 보체 단백질의 DNA 메틸화 분석

 후성유전은 타고난 DNA 염기서열은 변하지 않은 채 질병이나 환경 등 외부 요인으로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뜻한다.

 DNA의 시토신·아데닌 염기에 메틸기가 추가되는 'DNA 메틸화'가 대표적인 후성유전의 예이다.

 연구팀이 MALD 환자 106명의 생검 표본을 분석한 결과 지방간염으로 악화한 샘플에서 보체 단백질의 DNA 메틸화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미랑 박사는 "대사 이상 지방간질환 진행 과정에서 일어나는 보체 유전자의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대사 이상 지방간질환 진행의 핵심 기제를 이해하고 표적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분자간학'(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지난달 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몸에 유익한 과일…주스로 갈아 마시는 건 최악의 선택"
바쁜 현대인의 간식을 책임지는 주원료는 밀가루와 설탕이다. 도심의 '오아시스'인 카페 진열대에서 일에 지친 직장인을 기다리는 달콤한 쿠키나 케이크는 이들 두 재료가 없다면 존재하기 어렵다. 스트레스를 잊으려 무심코 집어 드는 이런 간식은 노화를 촉진하고 혈압상승, 고혈당, 혈중지질 이상, (복부)비만 등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는 인자가 겹친 상태인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키운다. 예전에는 대사증후군이 중장년층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근래에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집계에 의하면 대사증후군에 걸린 20대는 2018년에 10만5천명 수준이었는데 2022년에는 15만5천명 수준으로 47.7%나 늘었다고 한다. 의학박사 박민수는 신간 '과속 노화의 종말'(허들링북스)에서 이처럼 정제 탄수화물이나 당에 찌든 현대인의 식생활이 초래하는 위험을 경고하고 노화를 늦추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췌장에서 분비된 인슐린이 남아도는 혈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꿔서 저장하고 혈당이 부족할 때 다시 꺼내서 쓰는 항상성 체계가 원활하게 작동한다. 하지만 수면 결핍, 과로, 스트레스, 운동 부족, 과식,

메디칼산업

더보기
1분기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 개선…"약가 우대 정책 등 기여"
올해 1분기 들어 의약품 공급이 중단되거나 부족한 상황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3월 공급이 중단됐거나 부족하다고 보고된 의약품 수는 56개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0개가 보고된 데 비해 44% 줄어든 수준이다. 2023년 동기(81개)와 비교하면 31% 감소했다. 공급 중단·부족을 나눠서 보면 중단 건수는 1년 새 59개에서 34개로, 부족 건수는 41개에서 22개로 줄었다. 그간 정부는 약가 우대를 통해 원료 수급 불안정 등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의 주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녹십자의 경우 지난해 면역글로불린제제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10%'의 공급 부족을 보고하며 "국내 원료 혈장 감소 및 수입 혈장 가격 급상승으로 혈장 수급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논의 등을 거쳐 국산 원료를 사용한 국가필수의약품에 대한 약가 우대 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다. 국가필수의약품은 보건 의료상 필수적이지만 시장 기능만으로는 안정적 공급이 어려워 정부가 별도 지정하는 의약품이다.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이 품절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도 마련되고 있다. 제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