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항암 세포치료제, 몸 안에서 직접 만든다

KAIST, 시간 줄인 mRNA 치료제 제안…부작용 없이 암세포 사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지호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항암 세포치료제의 치료 효과를 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세포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배양해 암·치매 등 난치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혈액암 치료를 위한 카티(CAR-T) 세포치료제 개발 이후 고형암을 표적으로 하는 세포치료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종양 항원을 인식해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는 면역세포인 '종양 침윤 T세포' 기반 항암 세포치료제가 차세대 고형암 세포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연구팀은 종양 안에 mRNA 지질 나노입자를 주입, 종양 침윤 T세포 기반 세포치료제를 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mRNA 지질 나노입자가 세포막 표면에 T세포 증식에 필요한 '항CD3 항체'를 발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개발한 mRNA 치료제를 다양한 고형암 동물 모델의 종양 조직에 투여한 결과 부작용 없이 암세포를 사멸한 모습을 확인했다.

 특히 면역항암제(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제)가 듣지 않는 흑색종 동물 모델에 mRNA 치료제와 PD-1 면역항암제를 함께 처리했을 때, 치료 효과가 상승한 것을 확인했다.

 박지호 교수는 "고비용으로 긴 시간 준비해야 하는 항암 세포치료제 대신 종양 내 mRNA 주입만으로 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 mRNA 치료제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ACS 나노'(ACS Nano) 지난달 11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