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교육·신체활동 늘리는 '돌봄놀이터'로 아동비만율 1.2%P↓

비만예방사업 참여 아동, 신체활동 실천율·채소섭취율 각각 10%P↑
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아동 비만 예방사업 성과 발표

 정부가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을 교육하고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비만 예방 사업 '건강한 돌봄놀이터'를 운영한 결과 참여 아동의 비만율이 1.2%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실천율과 채소 섭취율도 각각 10%P가량 증가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초등 늘봄학교, 지역아동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등에서 놀이형 영양교육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비만 예방 사업 '건강한 돌봄놀이터'의 올해 성과 분석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올해 사업은 보건소 164곳을 통해 초등학교 366곳, 지역아동센터 등 기타 기관 127곳 등 493곳에서 아동 1만1천272명이 참여했다.

 사업 운영 결과 참여 아동의 비만군 비율이 28.1%에서 26.9%로 감소했다.

 하루 1시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아동의 비율은 37.3%에서 47.4%로 10.1%P 증가했고, TV 시청 및 스마트기기 사용률은 39%에서 32.7%로 6.3%P 줄었다.

 식습관도 개선돼 채소 섭취 비율이 49.9%에서 59.9%로 10.0%P 높아졌다.

 사업에 참여한 기관 관계자와 아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각각 91.9점과 91.4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정혜은 복지부 과장은 "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이 아동·청소년의 비만 예방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지역사회와 협력해 학교-가정-지역이 연계된 통합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참여형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아동 비만 예방 사업의 효과를 강화하고자 내년에는 가정에서도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개발해 확산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대선기획본부 출범…"의정갈등 4월 중 해결" 대응 본격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3일 대선기획본부를 출범하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본격화한 조기 대선 국면 대응에 나섰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대선 과정에서 의정 갈등을 완화하는 한편 의료계에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 영향력 행사를 공식적으로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협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민복기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이 본부장을 맡았다. 민 본부장은 "의정 갈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4월 중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특히 "의대생, 전공의와 정부가 빠른 시간 내에 접점을 찾아 내년도 의대 정원(모집인원)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내후년 의대 정원에 대해서는 "우리(의료계)가 교육 가능한 숫자의 범위를 정해놓고 국회에서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의협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정부와 정치권에 논의의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대화를 공식 요청한 바 있다. 의협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정부가 약속한 의정 갈등 전인 3천58명으로 조기 확정하고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다. 특히 의정 갈등 상황을 새 정부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