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건의료 R&D' 예산 2조1천억…올해보다 14.9% 증가

복지부·과기부·질병청 등 5개 부처 141개 사업 추진

 정부가 내년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R&D)에 2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정부는 20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내년도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5개 부처의 보건의료 R&D 예산 2조1천47억원을 보고 받았다.

 이는 올해 보건의료 R&D 예산(1조8천324억원)보다 14.9% 늘어난 것으로, 정부의 내년 R&D 주요 예산 24조8천억원의 8.5%를 차지한다.

 복지부는 보건의료 R&D 예산 증가율이 정부 전체 R&D 예산 증가율(13.2%)보다 높다면서 이는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높은 국가적 관심과 투자 의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분야별로는 ▲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3천179억원) ▲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9천947억원) ▲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4천859억원) ▲ 데이터·인공지능(AI)이 선도하는 미래의료(2302억원) ▲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혁신(760억원) 등 5개 분야 141개 사업에 예산이 편성됐다.

 신규 사업은 33개로, 총 1천545억원 규모다.

 팬데믹 대비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질병청)에 254억원이 신규 편성됐고,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복지부)에도 110억원이 새로 배정됐다.

 복지부는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 지원(79억원), 저출산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56억원) 사업 등도 내년도 신규 추진한다.

 조명찬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 공동위원장(충북대 의대 교수)은 "연구개발 결과가 기술적 성과에 그치지 않고 상용화까지 이어지도록 정부가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만성 스트레스가 우울증 일으킨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억및교세포 연구단 이창준 단장, 이보영 연구위원 연구팀이 만성 스트레스가 뇌 전전두엽에서 단백질의 당사슬(당쇄) 형태를 바꿔 우울증을 일으키는 뇌 분자 기전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서 무기력, 수면 장애 등 증상을 동반한다. 심리적·환경적·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병 기전이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치료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집중돼 있다. 세로토닌 기반 항우울제가 널리 쓰이지만, 효과를 보는 환자가 절반에 못 미치며 위장 장애나 불안 악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신경전달물질 중심의 접근을 넘어 뇌 속 새로운 분자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당쇄화 과정에 주목됐다. 당쇄화는 단백질에 작은 당 사슬이 붙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는 과정으로, 암·바이러스 감염·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중요한 분자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당쇄화 형태에 따라 N-결합형, O-결합형 등이 있는데 최근 우울증 환자의 생체시료 분석에서 다른 뇌 질환에 비해 O-당쇄화 합성 유전자가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연구팀이 뇌 조직 샘플별로 분석한 결과 세부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