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휴게소 5년간 '우동' 가격 24.5% 올라…명절엔 아메리카노 인기

 지난 5년 사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가격이 제일 많이 오른 음식은 우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태준 의원이 최근 한국도로공사로부터 받은 2019∼2024년(연도별 12월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 매출 상위 10개 음식값 변화 자료에 따르면 우동류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6천619원으로, 지난 2019년 5천315원보다 24.5%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우동류 가격은 2020년 5천476원, 2022년 6천251원 등으로 매년 2∼10% 사이에서 높아졌다.

 카페라테(4천661원→5천20원, 7.7%), 라면류(4천333원→4천710원, 8.7%) 등은 비교적 낮은 인상률을 보였다.

 도로공사는 라면을 '실속상품'으로 지정해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있고, 일부 휴게소에서 조리 로봇을 도입해 라면과 커피 등을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0년 이후 작년까지 10번의 설·추석 명절 기간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가장 큰 매출을 기록한 메뉴는 아메리카노로 나타났다. 매년 연휴마다 10억∼20억원대가 판매돼 총 199억3천400만원어치가 팔렸다.

 이어 호두과자(169억1천만원), 우동(117억5천만원), 떡꼬치(102억원) 등이 이 기간 명절 연휴에 특히 잘 나간 메뉴였다.

 지난해 설·추석 연휴 기준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한 휴게소는 충남 당진 서해안고속도로상의 행담도휴게소였다.

 설 9억7천만원, 추석 13억4천600만원 등 모두 23억1천6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2위는 경기 이천 영동고속도로상의 덕평휴게소(18억8천만원), 3위는 경기 시흥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상의 시흥하늘휴게소(12억8천700만원)였다.

 안태준 의원은 "도로공사는 직영 휴게소 확대 등 음식값을 내리기 위한 근본적 방안을 마련해 심각한 고물가 시대 휴게소를 이용하는 국민의 부담을 덜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